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EU, 미국 공산품 관세 철폐법 발표 임박이라네요

EU가 곧 미국 공산품 관세 철폐 법안을 발표할 수도 있다고 봤어요. 이게 적용되면 우리 수출에도 어떻게 반영될까, 관련 시나리오가 궁금합니다. 혹시 대응 전략 있는 분 있나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EU가 미국과 공산품 관세 철폐 논의를 진행한다는 건 글로벌 교역 환경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사안입니다. 만약 실제로 법안이 시행되면 미국 기업과 유럽 기업 간 거래 비용이 줄어 가격 경쟁력이 강화됩니다.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에서 유럽산 제품과 직접 경쟁할 때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나 기계류처럼 중복되는 품목에서 가격 차이가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EU와 미국의 무역 흐름이 원활해지면 중간재 공급망이 안정화돼 우리 기업이 간접적으로 이익을 보는 경우도 예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미국에서 수출할때의 관세가 폐지되는 것이기에 우리나라와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이미 한-EU FTA를 통하여 관세를 0% 적용받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미국산 물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 증대로 우리나라 물품에 대한 수출이 감소할 가능성은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EU와 미국이 공산품 관세를 철폐하면 양국 간 교역 장벽이 낮아지면서 우리 기업이 상대적으로 경쟁 압박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나 철강 같은 품목은 가격 경쟁력이 더 민감해져서 유럽 내 미국산 점유율이 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쪽은 FTA 활용도를 높이고 물류비 절감이나 제품 차별화로 대응하는 전략이 실무에서 자주 거론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에 대한 관세가 낮아지면 우리나라와 동종업계에서 경쟁하는 미국산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우리나라는 악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관세철폐에 대한 부분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조건이 걸려져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8/29/IGSOV6PI7FG6DOLBWBG474JI6Y/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EU의 미국산 공산품(산업재) 관세 전면 철폐”는 EU–미국 간 새 합의의 일환으로, EU가 미국산 산업재 관세를 없애는 대신 미국이 EU산 자동차·부품에 매긴 관세를 27.5% 에서 15%로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한다고 합니다.

    유럽연합은 미국산 산업재 관세를 없애는 입법안을 제안했고(회원국·EU의회 승인 필요), 미국 측은 EU가 법안을 ‘제출’하면 자동차 관세 인하를 바로 발동하겠다는 입장이라고 하며 이같은 상황이 진행 된다고하면 한국 기업이 유럽 법인을 통해 미국산 중간재를 조달하는 경우, 해당 부품의 EU 수입 원가가 하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한 적이지만 EU 내 생산(예: 현지 조립·가공) 비중이 큰 기업은 원가 절감 여지가 생기고, 이는 현지 판매가격 조정이나 마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