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가격에 매수매도 호가 수량이 있는 건 뭔가요?
주식은 지정 호가에 매수매도 주문을 내고 일치하면 체결되는 구조로 알고 있습니다. 간혹 짧은 시간동안 같은 가격에 매수매도 호가 수량이 있는 건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거래 의사가 맞물린 미체결 잔량입니다.
시장참가자들이 같은 가격에서 매도, 매수를 희망하지만 거래량이 다를 때 발생합니다. 유동성, 심리 흐름을 반영하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ATS가 생기게 되면서 하나의 주식에 두 가지 가격이 존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같은 호가라도 매수매도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해당 거래가 같은 거래소에 떠있다면 바로 체결이 되었겠지만 다른 거래소에 떠있는 케이스를
본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마 NXT(대체거래소) 물량일 것입니다.
호가창에 KRX 물량과 NXT 물량이 동시에 보일 경우 호가는 최우선 호가가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같은 가격에 매수 매도 호가 수량이 있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그 만큼 거래량이 많기 때문에
체결이 되도 계속해서 거래량이 들어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건 가격변동성이 커지면서 시장가매수와 시장가매도가 급격하게 주문량이 들어올때 발생됩니다. 시장가 주문은 가격상관없이 주문수량만 넣는 주문이며 그 즉시 호가에 쌓여있는 매수와 매도잔량에 대해서 체결이 되는구조입니다 즉 이렇게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시장가 매수와 시장가 매도가 동시에 급격하게 들어올때 일시적으로 매도 매수 호가잔량이 정리가 안되면서 같은 수량으로 쌓여있는 모습이 생길때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수매도 호가 수량이 동시에 보이는 것은 호가창 갱신 시차로 인해 짧은 순간 체결이 반영이 되지 않는 수량이 동시에 보일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정 가격 단위로만 주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가격에 매수자와 매도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흔할수 있습니다. 호가 단위 제한때문에 그렇게 보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가격에 매수/매도 호가 수량이 있는 경우는 동시호가 시간이나 특정 가격대에서 다수의 매수, 매도 주문이 같은 가격에 몰렸을 때 발생합니다. 이는 거래량이 많거나 투자자 심리가 집중된 구간에서 나타나며, 장 시작 전, 마감 직전 등 한꺼번에 주문이 쏟아져 공정한 가격을 형성하기 위해 동시호가 제도가 적용되는 때가 대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짧은 시간 동안 같은 매수/매도 호가가 존재한다는 것은 시장가 체결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시장가 체결을 누르면 그 즉시 시장가격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매수/매도 호가 수량이 몰리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단기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매수잔량과 매도잔량이 일치하지 않아서 짧은 시간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경우 서버에 전송된 매수신청이나 매도신청에 따라서 발생하거나 또는 매수량과 매도량이 빠른시간내에 서버 내에서 연결이 되어 처리가 되지 않아 발생한 문제라고 보기에 이러한 문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상화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호가창을 보면 같은 가격에 매수와 매도가 동시에 걸려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체결은 가격과 수량이 맞아야 되는데 주문이 들어온 순간에 바로 맞지 않고 대기 상태로 남아 있는 겁니다. 예를 들어 1만 원에 사겠다는 주문이 있고 동시에 1만 원에 팔겠다는 주문도 들어오면 우선순위에 따라 일부만 체결되고 남은 물량이 호가창에 그대로 보이기도 합니다. 또 시장 참여자가 동시에 주문을 내면 아주 짧은 순간 동안 겹쳐서 표시되기도 합니다. 제 생각에는 거래소 시스템이 초 단위가 아니라 더 세밀한 단위로 처리되다 보니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에 가깝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그런게 없었는데 요즘 넥스트레이드 라는 대체거래소 생긴 후 그런 현상이 나옵니다
이게 KRX시세와 NXT시세가 별도로 있는대 이걸 통합해서 호가를 보여줘서 종종 그런 현상이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