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수리무
수리무23.03.01

이승만은 김구와 왜 싸워났요?

임시정부가 생기고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가 김구와 싸우고 미국으로

가서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두분은 왜 싸웠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국을 잃고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었지만 당시 우리 선조들은 부단히 나라를 되찾고자했습니다.

    그러한 독립운동이 여기저기 , 각 개인간의 활동으로 이뤄지다가 서서히 조직화 되었는데 두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됩니다.

    일본을 상대로 무력항쟁하여 광복하자는 파, 무모한 살생은 피하고 대신 세계 당대국들과 긴밀히 협조하여 일본을 고립시켜 광복을 쟁취하자는 파.

    힘으로 빼앗겼으니 힘으로 되찾자는 무력항쟁파는 상해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한 세력이며 외교쪽으로 승부를 건 쪽이 미국을 중심으로한 재외 한인세력입니다.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이가 김구 선생, 재외 한인세력을 결집한 이가 이승만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정작 이승만·김구는 '19 vs 48 갈등' 없었다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 › 정치 › 정치일반

    2017. 9. 12. — “내가 (정부) 바깥에 있는 게 낫다. 더러운 정치싸움에 말려들기 싫다. 난 특정 정당의 비방에 의해 반미주의자로 알려졌다. 나는 중국과 미국만이 한국을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승만은 김구와는 달리 집안도 잘 살고 고생을 하면서 독립 운동을 하지 않은 분 입니다. 반면 김구 선생은 본국과 상해 임시 정부등에서 독립 전쟁을 주도 하신 분이지요. 해방 이후에도 기존의 친일파 세력을 위주로 본인의 집권을 하게 된 분이 이승만 박사 였습니다. 그래서 친일파 세력을 제거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았지요. 김구 선생이 우리 나라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면 4.19같은 일은 일어 나지 않았을 텐데 ... 생각 해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하이 임시정부의 대통령으로 이승만이 추대되었습니다. 이승만은 주로 강대국에 호소하는 외교활동에 주력했습니다. 주로 미국에서 활동했습니다. 그러나 그 성과가 지지부진하고 연통제 등 조직도 와해되어 임시정부는 재정적, 활동적 위기에 봉착합니다.

    그러다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열리게 됩니다. 이는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에 우리나라를 위임통치해 달라는 청원을 한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크게 높았던 것입니다. 대표회의에서는 임시정부 해체론, 창조론, 현상유지론이 크게 대두되었습니다. 해체론에는 주로 무장투쟁론자들이 신채호 등이 있었고, 안청호 선생이 새 임시정부 수립을 주장하였습니다. 현상유지론에는 김구가 있었습니다. 백범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고난에 빠졌을 때에도 항상 임정과 함께한 인물입니다.

    대표회의 결과 이승만 대통령은 탄핵되고 임시정부는 유지하되 독재적 결정에 문제가 있으니 집단지도체제를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김구 선생과 이승만 대통령은 임정을 둘러싸고 다른 길을 걸었으나 광복 전에는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민족주의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들이었으나 광복 후 한반도 정부수립과 관련해 단독정부 수립의 이승만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김구의 길은 결정적으로 갈라지고 맙니다.

    이승만은 대한민국 초대대통령이 되고 김구 선생은 안두희의 총탄에 희생되고 말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