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급 재활치료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아야 하나요?
척추에 뚜렷한 기형 또는 심한 운동장애를 영구히 남겼을때의 기준 평가에 대해서 대학병원급 재활치료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척추에 뚜렷한 기형이나 심한 운동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경우, 이러한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기록하기 위해 대학병원급의 재활치료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대학병원급 병원에서는 척추 관련 전문 의료진과 여러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서는 추후 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보험 청구, 복지 서비스 신청 등 다양한 목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해당 병원의 재활의학과나 관련 진료과에서 진료를 받고, 필요 시 진단서를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에 뚜렷한 기형 또는 심한 운동장애를 영구히 남긴 경우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평가받기 위해서는 병 의원 보다는 대학병원급의 재활의학과나 정형외과 신경외과등에 의학적 진단 및 후유증 장해 평가를 받는 것이 정확도와 신뢰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에서 장애과련된 진단을받고싶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후에 진단받을수있는데요 보통은 병원급에서 여러가지 검사를받아보시고 기능적인문제는없는지 확인한다음에 진단받을수잇기때문에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에 뚜렷한 기형이나 심한 운동 장애가 있을 경우 대학병원급 재활 치료 병원에서 전문의의 평가와 진단서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진단서는 장애 정도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단서는 보험 청구나 법적 절차에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평가를 위해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장애진단기준은 보건복지부의 장애등급 판정기준에 따라 정해지게 되는데요, 이때 의사의 진단서는 장애등급을 판단하는데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상급병원이 아니더라도, 관련 전문의의 진단서를 발급받으셔도 문제가 될 것은 없지만, 대학병원급은 상급병원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근거자료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사항에 대해서는 괸련기돤에도 문의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