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4

조선시대 기생의 뜻과 탄생배경이 궁금합니다

생각 드라마를 보면 기생 이라는 신문을 가진 여성들이 많이 등장을 하는데 기생이 정확한 뜻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해서 탄생을 하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생이란 춤과 노래, 그리고 풍류로써 연회장의 흥을 돋우는 것을 직업으로 삼았던 예기를 총칭한 말이라고합니다. 기생의 기원에 대해서는 신라시대 일종의 여무였던 원화에서 비롯되었다는 설, 백제 유민인 유기제조인의 후예라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생이라고 하면 통상 조선시대의 기생을 가리키며 원칙적으로 모두 관에 소속된 관기였으며 신분으로는 천민에 속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모던한굴뚝새285
    모던한굴뚝새28523.12.14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생의 연원을 논할 때 흔히 거론되는 여인은 신라의 천관녀(天官女)이다. 김유신(金庾信)이 젊은 시절에 ‘매음방(賣淫房)’에 드나들다가 어머니에게 꾸중을 듣고 크게 뉘우치어 다시는 그곳에 가지 않기로 맹세한 바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술자리를 가진 뒤 취한 상태로 말을 타고 집으로 돌아오 던 중 말이 습관적으로 창가(娼家)로 잘못 향하게 되었다. 창녀(娼女)가 나와서 기뻐하며 맞이하자 비로소 잠이 깬 김유신이 분연히 말의 목을 베고는 집으로 돌아갔다는 설화에 나오는 여인이 바로 천관녀이다. 그녀는 매음의 기원을 살피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기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는 어렵다고 본다.

    한편, 기생과 비슷한 듯하지만 매음이 훨씬 더 강조된 존재로 유녀(遊女)가 있는데, 기생보다 저급하게 인식되어 기생과는 마땅히 구별되어야 한다. 기생이 존재하던 시기에도 단순 매음에 종사하는 유녀가 있었던 사실이 둘을 구별하여야 함을 말해 준다. 유녀들은 예술적 재능을 요구받지 않았을 뿐더러 관청에 소속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생과는 구별되었다.

    조선 성종대에 유녀라고 불리는 자들이 원(院)·관(館)과 영(營)·진(鎭)에 많이 있어 봄·여름에는 어량(魚梁)의 세금을 거두는 장소로 가고, 가을·겨울에는 산간의 사찰에 놀러 가 음란한 짓을 행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승려들이 부인을 유인하여 산중의 절에 감추어 두거나, 재산 많은 큰 상인들이 재물로 양가의 처녀를 꾀어내어 실행(失行)하게 하고 돌아갈 수 없게 하여 유녀가 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조선 말에 박제형(朴齊炯)도 관기와 단순 매음녀를 엄격하게 구별한 상황을 설명하면서 “관기는 판여(板輿)를 타고 깁 장옷으로 전신을 감싸면서 낯만 내어놓았다. 창녀는 감히 판여를 타지 못해서 관기와 구별하였다.”라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기생은 단순 매음녀와는 엄격히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생은 무엇보다 관청에 소속된 공적인 관물(官物)이었다는 점에서 사적인 매음녀와 달랐다. 그리고 기생은 외적인 용모를 기본으로 하되, 예술적 재능까지도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역시 단순 매음녀와는 격을 달리 하였다.

    기생의 연원과 관련하여 고려해 볼 것은 기생들에게 요구되었던 기능이 기예(技藝)와 여색(女色) 두 가지가 가장 컸다는 점이다. 이는 기생이 황 음(荒淫)과 유희(遊戲)를 위한 도구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산군 때 어무적(魚無迹)의 지적에서도 확인되는데,5) 기생이 가진 여색이 황음을 위한 것이고, 그 재주는 유희를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이었다. 이로써 유추해 본다면 기생이 생겨난 때는 관청에 소속된 시점과 예술적 재능까지 요구받던 시점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시점은 대체로 고려 전기로 알려져 있다.

    기생의 기원과 관련하여서는 고려 태조 때에 통제하기가 어려웠던 백제 유민 계통의 양수척(楊水尺)을 관청에 소속시켜 노비로 삼고, 그 중 색예(色藝)가 있는 비(婢)를 기생으로 삼아 가무를 연습하게 한 것이 기생의 시초라고 보고 있다. 현종 때에 기생을 교육하는 시설인 교방(敎坊)을 없앤 기록이 있는 것으로7) 미루어 이전에 이미 기생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설치한 교방은 정확한 설치 연대나 구성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않으나 문종대에 교방의 존재가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곧 다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종대에 연등회에서 교방의 여제자(女弟子), 즉 기생이 도사행(蹈沙行)의 가무를 담당한 바 있었고, 팔관회(八關會)에서는 교방의 여제자가 포구락(抛毬樂)과 구장기(九張機)를 연주하였다고 하여 기생의 존재를 알려 주고 있다.

    인종대에는 관에 소속된 기생이 700여 명에 달하였다고 하는 기록이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전하고 있다. 또한, 기생을 3등급으로 나누어 그 중 가장 뛰어난 기생 260명은 대악사(大樂司)에 소속되고, 그 다음 등급에 해당되는 170여 명은 관현방(管絃房)에 소속되고, 나머지 300여 명은 경시사(京市司)에 소속된 것으로 나타난다. 충렬왕대에는 각 지방에서 기예가 뛰어난 기생들을 뽑아 올려 교방을 충실하게 하였다는 기록10)도 있어서 교방이 고려 사회에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단 이렇게 기생이 형성된 이후에는 신분이 세습되었기 때문에 출산에 의한 자체 재생산이 구성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밖에 전쟁 포로나 범죄에 따른 형벌 또는 관비로부터의 보충 등이 충원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생은 궁중이나 양반가에서 활동한 여성들로 예술, 음악, 춤 등으로 활동하는 조선 사회에서 낮은 계층인 천인이었으며 흥을 돋우는 일을 맡았습니다.

    조선해어화사에서 기녀들은 오랜 기간 생활 주변에서 가까운 곳에 함께 살고있었고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소외된 계층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생 혹은 기녀는 춤 노래 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 민기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의 총칭입니다. 천인 신분이었지만 춤 노래 시 등에 능한 예인이었으며 대표적인 기녀로는 16세기 사람인 황진이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생은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여성을 말합니다.


    고려시대부터 기생이 있었다고 학자들은 주장합니다.

    기생제도는 조선시대에 발전하여 자리를 굳히게 되어 기생이라 하면 일반적으로는 조선시대의 기생을 지칭하기도 하며, 유교적 질서를 중시했던 당대 사회계급상으로는 천민에 속해 사회적 대우를 받지는 못했으나, 시와 글에 능한 지식인으로서 대접받는 특이한 계층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