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낭만신사당
낭만신사당23.03.16

4살된 딸 아이대소변을 못가립니다?

4살된 딸 아이가 대소변을 아직도 못 가립니다...어린이집에서 실수를 자주하는 편이고 또래친구들 보다 많이 느리네요 좋은 방법이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배변훈련을 꾸준히 시켜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변기에 가까이 하면서

    계속해서 연습을 시켜주고 친숙하게 만들어주시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배변훈련은 잘못 하다보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여유있게 기다려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대소변 가리기를 하시려면 우선은 아이가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아이의 발달과 성장은 개인차가 있습니다.

    대소변 가리기 및 기저귀 떼는 것도 마찬가지지요. 빨리 떼는 아이가 있는가 반면에 늦게 떼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의 성향과 기질은 다르기 때문에 아이의 개인차를 먼저 이해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대.소변이 마려우면 의사표현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반복연습을 시키도록 하세요.

    또한 배변훈련을 도와 추는 책을 읽어주면서 배변 습관을 길러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지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4살이라도아이들 저마다 발달에 차이가 있으므로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기저귀에 쉬를 하고 그 축축한 기분을 느끼고 의사표현 할 수 있어야 비로서 배변연습 시기가 온 것입니다.

    다그치지 마시고 변기와 친숙할 수 있게 해주시고 기다려 주세요.

    조금 늦는다고 큰일나지 않습니다.

    다른 아이와 비교 하지 마시구요.^^

    기분좋게 기저귀 졸업하는 날을 기대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용변을 보고 싶어할 때 아이들마다 오는 신호가 있으니, 부모님께서는 관심을 가지고 아이의 신호가 오면,

    바로 변기에 앉히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용변을 봤을 시 아낌 없는 칭찬을 해줘서 그 행동을 강화하게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배변교육 또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마시고

    변기와 친해지는 연습부터 시작해서 배변 훈련을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규칙적이고 안정적인 배변습관을 들이기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기가 아이 눈에 잘 띄는 일정한 곳에 두고

    어둡거나 무섭지 않도록 밝게 해줍니다. 변기 주변에 아이가 좋아하는 예쁜그림이나

    캐릭터를 붙여주는 것도 좋습니다. 어른 화장실을 같이 쓸 경우 디딤 발판이나 보조 변기를

    마련해주도록 합니다. 안정감 있는 공간에 유아 변기를 놓고 아이에게 편한 공간을

    마련해주세요. 이런식의 가정에서의 연습으로 어린이집에서도 습관처럼 볼수 있게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관련 놀이나 책 영상등을 통해 자주 보고 접하도록 해주시고 실수하더라도 혼내시면 안됩니다

    또래와 비교되어 조급함이 느껴지겠지만 만 60개월정도면 대부분 이상없이 가릴 수 있으니 시간을 두고 지켜봐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다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장실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대로 학습하지 않았을 수 있고, 방광근이 약하거나, 소화관이나 방광 등과 관련된 질환일 수도 있으며, 아이가 부모님의 관심을 끌고 싶어서 의도적으로 대소변을 가리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화장실 사용법을 차근차근 가르쳐주고, 언제든지 물어보면 친절하게 답해주면서 학습을 돕는 것이 좋겠고, 관심을 빋거 싶어서 의도적으로 대소변을 가리는 경우에는 칭찬과 격려를 통해 아이에게 관심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