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7.16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실물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금리 상승기에 있다 이제 하반기 부터 금리 인하가 된다는 말이 나옵니다 금리인하가 시작된다면 우리나라 실물경제는 어떻게 변화를 보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가 되면, 대출이자가 저렴해지고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되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어요.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 수요가 증가하고 생산 활동이 증가하여 고용 창출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대출이자가 저렴해지면 기업은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생산력 증대와 혁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는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수 있어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 아직 금리상승기에 있고 우리나라도 1번 정도는 인상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어째든 금리인하가 되면 일단 가계, 기업의 이자 부담이 감소하여 가계의 소비 증가, 기업의 투자 증가가 예상됩니다. 경기가 회복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입니다. 그렇다고 쉽게 실물경제가 회복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많고 코로나 이후 소상공인들의 부채부담이 아직 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한다면 마냥 좋은 것이 아닌게 물가가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산가치도 동시에 오를 수 있는 장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점차 각국의 금리도 인하되면서 국내 금리도 낮출 가능성이 커지는데요.


    금리가 인하되면 대체로 자금의 흐름이 은행 예적금에서 주식 시장으로 옮겨오게되고, 주식 시장이 활성화되게 됩니다.


    또한 부동산 대출 금리 인하로 부동산 또한 지금보단 거래가활성화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는 실물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출 촉진: 금리 인하는 대출 비용을 낮추므로 기업과 개인이 더 저렴한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투자와 소비를 촉진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2) 경기 부양: 낮은 금리는 경기 부양을 목표로 설정될 때가 많습니다. 금리 인하는 경제에 유입되는 자금을 늘리고 경기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3) 부동산 시장: 낮은 금리는 주택 구매나 대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주택가격 상승이나 부동산 투자 증가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4) 통화 가치 변동: 금리 인하는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로 인한 통화 가치 하락은 수출 촉진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5) 예금 이자 감소: 금리 인하는 예금 이자율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는 저축자에게는 불리할 수 있으나, 대출자나 투자자에게는 유리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는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내년부터 시작할거라는게 전문가들 컨센서스입니다 금리인하하면 아무래도 시중통화량 증가로 물가가 다시 조금 오를수 있고 주식 부동산등의 가격상승이 올수 있습니당!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가 된다면

    경기가 침체되었다는 상황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금리인하를 제외하고

    경기부양책이 나올 것이고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여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금리가 인하되게 되면 시중 통화량이 늘어나게 될 것이고, 이는 실물경제가 살아나 GDP 성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이나 자산 가격이 오를 수 있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