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늘씬한듀공294
늘씬한듀공29420.04.22

퇴직일자와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퇴직금 정산과 관련하여

퇴사일자가 문제가 되어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9월 30일까지 근무(사직서에도 퇴사일 30일로 기재되어 있음)하고

퇴사 할 경우,

퇴사일자는 30일이 되는건지,

아니면 30일까지 실제적으로 근무를 했으니

10월 1일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퇴사일과 4대보험법상 상실일과 혼동하시는 걸로 보입니다.

    • "퇴사일 또는 퇴직일"은 일반적으로 마지막 근로를 제공한 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직서에 퇴사일을 9월 30일로 기재했다면, 9월 30일까지 마지막 근로를 제공하고 퇴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퇴직금 산정시 평균임금은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므로, 퇴사한 날의 마지막 근로를 포함하여 평균임금을 산정하는 것입니다.

    • 반면, 4대보험법상 "상실일"은 마지막 근로제공을 한 다음날을 의미합니다.

    • 9월 30일에 퇴사일로 기재되어 있다면, 출근의무가 없어 9월 29일까지 근무한 것이 아닌 이상, 통상 9월 30일까지 근로를 제공한 후 퇴사하는 것이고(퇴사일), 4대보험 상실일은 그 다음날인 10월 1일이 됩니다.

    공인노무사 차충현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박경준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마지막 근로일의 익일, 즉 그 다음날이이 퇴사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귀하의 경우 9월 30일까지 근무를 하신 바

    퇴사일은 10월 1일이 됩니다.

    도움이되셨으면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형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원칙적으로 퇴직일은 공휴일과 평일 등의 구분 없이 마지막 근로일의 익일이 퇴사일이 됩니다(근기 68201-3970, 2000.12.22.). 근로를 제공한 날은 퇴사일이 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4.23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마지막 근로제공한 날의 다음 날을 퇴직일로 보고 있습니다. 아래의 행정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퇴직일의 계속근로년수 산입에 관한 해석 ( 2000.12.22, 근기 68201 - 3970 )
      1. 관련 : 근기1455-35307(1987.12.31)호
      2. 근로자의 퇴직은 근로계약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퇴직일은 근로기준법 제34조에 규정한 계속근로년수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이 타당함
      3. 따라서 퇴직일이 계속근로년수에 포함된다는 기존의 행정해석(근기1455 -35307, '87.12.31, '94. 12 발간된 근로감독관 통신교제 P192에 수록)은 폐지함과 동시에 퇴직의 효력발생시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보완·시달하니 업무처리에 착오 없기 바람.
      가. 퇴직의 효력발생시기는 예규 제37호('81. 6. 5)에 의거 처리하되, 당일 근로를 제공하고 당일 사직서가 수리된 경우는 다음과 같이 판단하기 바람.
      나. 근로자가 당일 소정근로를 제공한 후 사용자에게 퇴직의 의사표시를 행하여 사용자가 이를 즉시 수리하였더라도 근로를 제공한 날은 고용종속관계가 유지되는 기간"으로 보아야 하므로 별도의 특약이 없는 한 그 다음날을 퇴직일로 간주함.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백종수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퇴사일은 원칙적으로 마지막근로일 다음날 입니다. 즉 질문자님께서 9월 30일까지 근로를 제공하였다면 퇴직일자는 10월 1일로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퇴직금 산정시 9월 30일까지의 일수를 계산하시면 될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봉주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를 제공한 날은 당일 사직서를 제출한다 하더라도 근로일로 보아야 하므로, 퇴사일자는 그 다음 날인 10. 1.이 됩니다.

    따라서 퇴직금 정산은 9. 30. 까지 근무를 제공하여 수령한 임금부터 직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현해광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4대보험 이직신고와 관련하여서는 마지막 근무일의 다음날(퇴사일)을 기준으로 신고하며,

    퇴직금과 관련하여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산정시는 7/1~9/30까지의 급여를 기준으로 하시면 됩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