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최근 물가가 낮게 나오는 상황에서도 미국국채 채권금리가 크게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보통 물가가 낮게 나오면 금리는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미국 소비자, 생산자 물가 지수가 낮게 나오는 상황인데 오히려 미국 채권 금리는 계속 상승을 하고 있더군요.

뭔가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보여지는데 그렇다면 최근 물가가 낮게 나오는 상황에서도 미국국채 채권금리가 크게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낮게 나오는 상황에서도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소비자 물가 지수가 낮게 나온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물가는 오르는 중이고

    미국의 관세 문제 등으로 인해서 투자자들은 앞으로

    물가는 더 높아진다고 보기에 그에 대응해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움직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세계 여러 나라들이

    미국채를 매도하는 등 하며 더불어서

    미국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등 하였기에

    미국 채권금리가 크게 상승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미국 달러 표시 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달러 가치 하락과도 상통합니다.

    지난 4월초 발표한 일반관세와 상호관세로 인해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고 미국 등 주요국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 표시 국공채 가치가 급락했습니다. 물가 보다는 앞서 말씀 드린 미국 경제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국채 금리로 대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미국채가 많이 발행된 것에 비해서 생각보다 흥행에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 미국채가 잘팔렸다면 금리를 굳이 높이지 않아도 되겠지만 제대로 팔리지 않다 보니

      미국채 금리만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 결과적으로 현재 미국의 채권금리 상승은 미국의 미래를 믿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현재물가지수가 채권의 수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보다 다른 변수가 더 큽니다

    4월이후 미국정부가 상호관세 이슈가 확대되고 이로인한 향후 물가상승압력과 거기다 100년 무이자 국채발행과 거기다 미국의 재정적자가 더늘것이라는 문제와 신용등급 강등이 있었습니다

    즉 이로인해서 달러자산자체 매도세가 거세면서 달러인덱스하락 이해당 달러자산미 미국채자산이었고 국채매도로인한 채권가격하락이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진것입니다 또한 신용등급 강등은 발행시장금리가 올라가는 요소이고 이또한 시장금리를 상승시킨 촉발요인으로 작용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물가가 떨어짐에도 채권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국채의 발행이 증가함으로 인해, 수요와 공급에 다라 공급이 많아 져서 금리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는 사람들의 투자에 대한 심리 변화와 시장에서 변화하는 수급에 따라서도 이러한 금리상승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물가가 뛰면 미국 국채금리도 상승하고, 물가가 내리면 미국 국채금리도 하락하게 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정책 여파로 물가가 오르고 미국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연방정부 재정적자 확대, 부채 증가가 미 국채에 대한 신뢰를 흔들고 있어서 국채 금리도 상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