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는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까요?
새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로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살아나서 자금의 순유입이 이루어 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내수부진과 경기악화에 전쟁등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투자 심리가 매우 위축이 된 상태인데 중장기 적으로 상승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새 정부는 증시 부양 의지가 강해 투자심리를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다만 경제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꺾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의 중장기적 상승 추세 지속 여부는 정책 지원, 수출 회복, 기업 실적 개선 등에 달렸습니다. 첫째, 새 정부의 친성장 정책과 재정 확대가 시장 신뢰를 높여야합니다. 둘째, 반도체 등 수출호조와 중국 수요 회복이 성장 동력이 되어야 하며, 셋째, 기업의 이익 개선과 저평가 해소가 필요합니다. 또한 글로벌 통화정책 안정화와 건설 PF 위기 등 내부 리스크 관리가 관건입니다. 기술/바이오 등 혁신 섹터와 내부자 지분율 높으 기업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새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어느 정도 예산이 투입되어 시행되느냐에 따라서 증시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고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에 정권이 바뀌면서 정치적 리스크 해소와 상법 개정이나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의 자본시장 개혁을 추진한다는 정책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코스피 지수 5000포인트 달성을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상승을 이어오고 있으며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그래도 희망적인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증시가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 상법 개정이 되어야 하고 주주환원 정책도 자리를 잡고
내수 경제 및 수출도 살아나면 중,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게 될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