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곰돌이푸와친구들
곰돌이푸와친구들

물가가 올라가면서 고소득층의 기준이 높아진 건가요?

기재부 이 XX들이 2011년에는 5200만원 벌면 고소득 기준에 해당했는데,

2023년에는 7800만 벌어야 고소득층 기준에 해당한다고 적어놓았습니다.

이렇게 고소득층 기준이 점점 올라가는 가장 큰 만흉의 원인은 바로 물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금이 올라가는 가장 큰 원인은 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이 맞습니다.

    또한 물가가 상승함으로써 화폐가치가 낮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고, 매년 임금 인상, 또한 양극화 등이 주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금액으로 살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2011년에 연소득 5,200만 원이면 어느 정도 넉넉한 생활이 가능했지만, 2023년에는 같은 생활 수준을 유지하려면 더 많은 소득(예: 7,800만 원)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실질소득은 변하지 않았지만, 명목소득이 올라갔기 때문에 기준도 함께 상승합니다

    그러나 국민 전체 소득의 증가, 상대적 기준 적용, 정부 정책 변화 등의 복합적인 요소도 함께 작용합니다

    1명 평가
  • 비슷하게 보시면 됩니다.

    정확히는 1년 소득과 재산에 따라서 정해지는데 매년 그 금액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당연히 월급도 올라가겠죠?

    매년 최저임금 상승이 이러한 물가 상승 등을 포함한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소득을 기준으로 지원이나 혜택들 그리고 세금도 정해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물가 상승이 어느 정도 올라가야 사회가 유지 되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오히려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사회적 약자에게 더욱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물가는 오르되 너무 급격하게만 오르지 않으면 경제가 좋다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고소득층의 기준이 올라가는 이유는 물가 상승도 있지만 자산가치의 상승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가격의 폭등, 주식이나 채권, 가상자산 등의 가치 상승으로 부자들이 더욱 부자가 되고 있는 상황때문에 부자의 기준도 상향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소득 기준이 높아지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요

    대표적인 사례로 임금인상으로 소득수준이 오르기도 하고 경상수지 흑자로 기인하기도 합니다

    물가의 인상은 오하려 실질소득의 감소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아룰러 부동산 시장가격의 상승은 토지나 건물의 가치가 상승하므로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자산가치가 높아져 고소득 수준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것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