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7

컨테이너 화물은 어떻게 수출통관이 이루어지나요?

컨테이너 화물이 컨테이너에 적입된 상태에서 운송이 이루어지는 수출화물로 알고 있는데요. 궁금한게 컨테이너화물은 어떻게 수출통관이 이루어지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홍재상 관세사blue-check
    홍재상 관세사23.10.28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수출신고는 결국 국내물품이 외국으로 반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컨테이너 적입전에도 수출신고가 가능하고 국내의 지역에서 수출신고가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제조자의 제조공장에 물품소재지를 두고 세관에 수출신고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내의 공장 등에서 신고가 이루어진 물품은 그 이후에 컨테이너 적입작업 후 수출될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컨테이너 화물의 경우에는 해당 화물에 대하여 FCL의 경우 Master B/L이 LCL의 경우 House B/L이 보통 발행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B/L을 근거로 수출신고가 진행되며, 수출신고가 수리되는 경우에는 이를 기초로 선적이 진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컨테이너 화물이라고 하더라도 수출신고가 다른 것이 아니고, 보통은 발행되는 B/L의 차이가 있고 LCL화물의 경우 CFS에서 혼재작업을 거치는 것이 특징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일반적인 수출절차는 아래를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컨테이너 수입화물 운송절차

    선적정보입수

    • 수입국 선사는 수출국 선사로부터 컨테이너 선적목록, B/L목록, 선박출항보고서 접수

    선하증권 원본 입수

    • 신용장 방식의 경우, 수입업자는 수입대금을 신용장 개설은행에 완납하고 선하증권 원본 등 선적서류를 입수

    화물도착 통보

    • 화주는 해당 선박이 도착하기전, 도착화물을 인수하기 위해 선사로부터 도착통지서 (arrival notice)를 수령

    선박입항 및 하선

    • 선사는 선박입항 24시간 전(중국 등 근거리는 입항시까지)에 입항보고서, 적하목록 등을 세관에 제출

    • 수입화물을 부두에서 직반출하는 경우, 해당 선박 입항전 선사 또는 포워더에 해당 화물을 부두내 하선하거나 본선에서 차상 반출하도록 부두하선 요청을 해야함

    화물의 장치 및 보세운송

    • 하역업자는 적하목록 하선신고서에 따라 하선신고일로부터 7일 이내에 하선 장소에 물품을 반입

    • 하선장소에 반입된 컨테이너 수입물품은 10일이 경과되면 물품을 수출입화물집화소 또는 다른 보세구역에 반입시켜야 함

    • 다만, 다른 보세구역으로 반입하기 곤란한 컨테이너 수입물품인 경우 20일 범위내 세관장에게 장치기간 연장을 신청

    • 화물인도지시서 수령 및 화물 수취

      • 수입화주는 개설은행으로부터 입수한 B/L 원본을 선사에 제출하고 화물인도지시서 (D/O)를 수령하여, D/O를 다시 선박회사에 제출, 화물을 수취

      공컨테이너 반송

      • 원칙적으로는 컨테이너를 수령했던 ODCY로 반환, 예외적으로 선사가 지정한 ICD(내륙컨테이너기지)에 반환

    출처 : 한국무역협회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컨테이너 수출화물 운송절차

    선박수배

    • FOB 조건인 경우 수입상, CIF 조건인 경우 수출상이 의무를 담당

    • Shipping Schedule을 선사 및 대리점을 통해 확인하고 선박을 수배

      • Shipping Schedule 확인시 유의사항

      • ① 선박 입출항일 및 시간, 운송기일(transit time), 직항 또한 환적항 기항 여부

      • ② 선박 출항예정시간 (ETD : estimated time of departure)

      • ③ 선박 도착예정시간 (ETA : estimated time of arrival)

      • ④ CY cargo인 경우 화물수취 마감시간 (closing time)

    선적예약 (Booking)

    • 화주는 선사 및 포워더의 소정약식인 선적의뢰서(S/R:Shipping Request)를 발송, 선적 예약 (booking)

    선적

    • 수출 컨테이너화물을 선적항 CY 혹은 터미널에 마감시간(closing time) 전 반입

      • 미국행 해상화물은 적재 24시간 전 적하목록(manifest)을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기타 행선지 화물보다 마감시간을 앞당겨 운영하고 있음

    선하증권 수령

    • 선적 완료 후 화주는 선사로부터 B/L(선하증권)을 수령

    • 운임 선불인 경우에는 운임을 B/L 수령과 동시에 지급

      • B/L 수령후 기재내용이 이상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함

    선적 통지

    • 선적절차가 완료되면 수출업자는 수입업자에게 지체없이 선적통지를 하고 B/L 사본을 송부

    FCL 화물 이동경로를 설명한 도표

    출처 : 한국무역협회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컨테이너를 보유한 경우라면 수출물품을 적입하시면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운송사를 통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항공운송이나 해상운송 스케줄을 잡아야 합니다.

    수출신고필증을 발급하고 컨테이너를 비행기나 배에 선적하여 운송하게 됩니다.

    수출신고 - C/S시스템(우범물품선별시스템) -<물품검사 - 수리전검사> - 서류심사 - 운송 - <물품검사 - 적재전검사> - 선(기)적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수출통관은 컨테이너 적입 전에도 가능하며, 적입 후 반입된 보세구역에서도 가능합니다.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을 선박 또는 항공기의 운송수단에 적재하고 출항 및 기적을 위해서는 세관에 해당 물품의 수출신고가수리되어야 가능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적입 전 또는 동시에 수출신고를 진행하는 편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수출통관절차의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릅니다.

    수출신고시 관세법·대외무역법 등 통관 및 무역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사항에 따라 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출신고 수리된 물품은 30일 이내에 적재이행을 완료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