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김 값이 많이 올라가던데 해외에서는 김 생산 안하나요?
김과 김 관련 제품이 해외에서 잘 나가니 국내 김값이 가파르게 올라가던데 해외에서 김 생산하는 나라는 없나요? 일본도 한다는건 알고요
전통적으로 김을 섭취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 정도로 김 양식과 관련해서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고, 다른 나라에서는 김재배 양식과 환경 기술 등의 사유로 재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식습관에 따라서 김을 활용하는 나라가 많이 없고 수요가 많이 없으므로 우리나라에서 김을 많이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수출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김이 갈수록 해외에서 인기가 있는 관계로 최근에는 수출 효자 품목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김을 생산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결국, 체계적인 김 양식과 상품화 등으로 다른 국가보다 압도적인 품질과 수량이 나오는 관계로 이런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김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생산되긴 하지만, 한국 김은 독특한 맛과 식감으로 해외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 때문에 수출이 증가하고 국내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해외의 김 생산량은 한국보다는 적습니다.
김을 생산해서 수출하는 국가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3개국 뿐입니다.
3개국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생산량이 가장 많습니다.
우리나라 김양식 면적은 635제곱킬로미터로 여의도의 218배면적이라고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아래의 글과 같이 현재 김을 생산하는 국가는 한국 / 중국 / 일본 뿐입니다. 따라서, 다른 국가들의 경우 아직 양식 및 생산을 하지 않고 있기에 한국으로서는 강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김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나라는 한국, 중국, 일본 이 세 나라 뿐이며, 기타 국가(대만, 북한 등)는 통계에 잡히지 않는 미미한 수준이다. 김 생산량 1위는 중국으로 2013년 114만톤이며, 2위는 한국으로 41만톤(2014년), 3위는 일본이다. 김 수출량 1위는 한국으로 3,000억원, 2위는 중국으로 1,500억원, 3위는 태국이다. 태국은 김을 생산하지 않지만, 한국 등으로부터 수입한 후 튀긴김·훈제김·두리안김·똠양꿍김 등 김과자로 가공하여 수출하고 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