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지혜로운멧새271
지혜로운멧새27123.08.02

우리나라 주식들은 상승폭이 왜?

제목처럼 우리나라는 주식이 상승하는데에 있어서 일상승 상한선이 왜있는건가요?

미국만봐도 100%이상씩 오르기도하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는 이유는 아시다시피 주가 폭락, 폭등에 의한 기업, 개인 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이구요.

    한국은 왜하느냐는 한국 개인들의 힘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에야 사실 코로나이슈로 인하여 주식에서 슈퍼개미며 동학개미며 많은 지식과 돈을 보유한 개미들이 조금은 움직여 주지만 이전까지만 해도 정말 힘이 약했습니다.

    세력에 의해 쉽게 폭등되고 폭락이 가능했고 그 결과 많은 개미들이 피해를 보았죠.

    그래서 생겼지만 너무 자유시장을 침해하는 것도 있어서 앞으로 개미들의 힘이 강력해지고

    세력에 의해 쉽게 좌지우지 않는 형태가 오면 상,하한제도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경우에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상하한가폭이 제한되어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워낙 큰 시장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한국은 전세계 주식 시장에서 1~2% 비중 정도 일정도로

    엄청나게 작은 시장입니다. 그래서 만약 미국처럼 상하한가 제한이 없다면 큰 변동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가능해서

    제한을 두는거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 선진화가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중국의 경우 상승폭이 최대 10프로 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자본시장의 변동성이 여전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상,하한가 제도'를 둬서 +-30%까지만 오르고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상하한가 30% 한다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단, 상장일의 경우는 400%까지 변동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가격제한폭은 일시적으로 급격한 주가 변동으로 인한 투자자의 손실을 막고 공정한 가격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당일 매매중 주가가 움직일 수 있는 변동폭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제도는 지나친 가격 변동에 대한 완충장치로 시장의 충격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투자자의 보호를 위한 명목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을 정해두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상승과 하락의 가격제한폭을 둔 이유는 지나친 가격 변동에 대한 완충장치로 주가의 급등락을 완화하고 시장의 충격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미국은 업지만 우리나라, 대만, 일본등에 있는 제도입니다.

    제한폭은 제도 처음에는 8% 였고, 이후 12%, 15%, 현재는 30%로 변경되어 적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