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23.11.23

자고 일어나니 편도가 부어 목이 아파요. 빨리 회복하는 방법은?

나이
4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자고 일어났더니 건조해서 그런지 편도가 부어서 침삼키고 음식먹을때 목이 굉장히 따끔하고 불편합니다.

편도가 부었을때 빨리 가라앉히고 회복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편도선염의 경우, 대부분은 충분한 휴식, 적절한 수분 섭취 및 증상 관리를 위한 소염진통제 복용과 같은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합병증의 가능성이 있거나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재발성 편도염인 경우, 종종 편도 절제술이 고려되며 이러한 수술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입니다. 다른 치료법을 충분히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일 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한다면 편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편도 비대로 인해 치아 부정 교합이나 안면골 발달 이상이 발생할 때 또한 수술을 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치료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편도 주위 농양의 경우, 배농술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고, 수분섭취 잘하고 방안에 습도를 높게 유지하고..


    빨리 나을생각보다는 안하프게 버티는게 더 중요할거 같습니다. 타이레놀등 진통제 적극적으로 드시기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 가글 및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 조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편도염이 심하다면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정도에 따라서 항생제 복용도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편도선염이나 인·후두염 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침을 삼킬 때 목이 따끔거리거나 아프다면, 일반 가글 대신 '진통 소염 가글'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진통 소염 가글은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의약품이며, 구강 청결을 목적으로 쓰이는 의약외품 가글과는 차이가 있다.

    이비인후과적 질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ㅌ'가글 속에 들어있는 벤지타민염산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염증과 진통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고, 약간의 국소 마취 작용을 한다. 이로 이해 침을 삼킬 때 목이 따갑거나, 기침을 많이 하여 인‧후두가 많이 부었을 때 염증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포비돈요오드 성분이 들어있는 'ㅂ'가글의 경우, 바르는 빨간약처럼 살균 작용을 하는 성분이 구강 내 세균을 제거한다. 이로 인해 구내염 등을 완화할 수 있다.

    주로 치과에서 치료 후 처방하는 'ㅎ'가글은 클로르헥시딘클루콘산염이 주성분이다. 이 성분은 1950년부터 의료용으로 사용됐으며 항균 작용을 한다. 치은염, 치근막 수술 후 등 구강 내 살균과 소독 작용을 한다.

    연세이비인후과 임준완 원장은 "진통 소염 성분이 들어있는 가글은 국소적으로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며 "단,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전문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약을 먹으면서 가글을 하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가글은 전문 병원에서 처방을 받거나,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가글의 사용 각 가글의 성분에 따라 사용 횟수와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 전 의사나 약사에게 사용 방법 안내를 받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2/13/2021121301185.html

    편도와 인두는 다른 부위이며 말씀하신대 '편도'가 부었다면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하고 단순히 목(인두)가 부은 것이면 가글로 목이 부은 부분이 닿게 가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우선 병원 방문, 세균성인지 바이러스성인지 구별이 중요할 듯 합니다

    (세균성이 의심된다면 항생제가 꼭 필요할테니)

    그 외에는 적절한 휴식, 온도/습도 유지, 충분한 수분섭취 등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목이 부어오른 것이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질환이 아니라면 미온수 마시면서 실내습도를 50-60% 정도로 유지하며 지내보시면 되겠습니다. 감기라면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진통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고, 가글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빨리 회복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가까운 내과나 이비인후과 방문해서 검사 받으시고 약물치료 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