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근사한멧새
근사한멧새

방사능은 유출이되면 얼마나의 기간동안 유지되나요?

방사능은 한번 유출이되면 몇년이 지나야 소멸이되거나 인간한테 피해가없을까요??

영화 체르노빌을 보니 조금 심각한거같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체르노빌 사고의 영향으로 보면

    사고 후 700톤 이상의 방사능 물질과 최대 1200경 베크렐의 방사선이 누출되었습니다

    이는 화재만 10일이상 걸렸으며, 이주변 지역은 심각하게 오염이 되었고,

    35년이상 지난후에도 일부 지역은 여전히 오염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직접 노출된 사람들은 갑상선암, 뇌종양등 심각한 질병을 보였습니다.

    방사능이 완전히 사라지려면 수십년 은 기본이며 수백년 까지도 걸릴수 있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방사능 유출량이 얼만큼이냐에 단계로 분류하고 있어 달라지는데요.

    조금만 유출되더라도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관리를 철저히 해야해요.

    -일본의 경우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가 14년 지났지만 그 지역 야생버섯 등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은 여전하며 방사성 물질 중 세슘은 반감기가 30년이나 돼 토양에서 식물로 옮겨 농축되고 있다고 해요.

    방사능 피폭선량에 따라 인간에게 신체적 증상이 일어나게 되요.

    피폭량 0~250mSv : 무증상

    피폭량 250~1,000mSv : 500mSv 백혈구 감소
    피폭량 1,000~2,000mSv : 1,500mSv 방사선 숙취

    피폭량 4,000mSv : 전신조사시 30% 이내 50%가 사망하는 선량(조혈기장해를 일으키는 선량)

    피폭량 7,000mSv : 2~3주내 100% 사망하는 선량

    피폭량 10,000~50,000mSv : 위장관사

    피폭량 100,000mSv : 중추신경사

    피폭량 100,000mSv 이상 : 세포손상(세포나 조직구성 성분의 변성으로 기본대사 중지)

    핵폐기물의 경우 관리와 처리방법이 중요한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심지층 지하 매립으로 지하 심층 저장방법을 하고 있으며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해요.

    지하 500m~1,000m 깊이에 암반층에 영구 매립하고 인류와 자연환경으로 격리시키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