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충실한병아리134
충실한병아리13422.01.06

요즘 많이들 얘기하는 포괄수가제가 뭔가요?

요즘 언론에서나 여기저기에서 포괄수가제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정확하게 어떤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현재와 바뀌는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장점과 단점은 뭐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물건사러가면 정찰제라는 단어를 들어 봤을겁니다.

    포괄수가제는 정찰제 입니다. 치료비용, 수술,시술비용, 약제비용등

    정해놓은 가격입니다.

    여기서 이제 항암치료비용들이 포괄수가제 에서 제외가 되니

    자기부담률이 만만치 않게 됩니다. 이로서 암치료비용은 실비보험으로는 택도 없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포괄수가제란?

    포괄수가제는 검사나 수술,투약 등 의료서비스의 종류나 양에 관계없이

    어떤 질병 치료를 위해 입원했느냐에 따라

    "미리 책정된 진료비" 로 통일하여 의료기관에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물론 같은 질병이라 할지라도 중증도에 따라서 가격은 조금씩 달라집니다.

    현재 예정된 포괄수가제의 적용 질병군은

    4개 진료과의 7개 질병이 대상입니다.

    안과

    백내장수술(수정체수술)

    이비인후과

    편도수술 및 아네노이드 수술

    외과

    항문수술,탈장수술,맹장수술

    산부인과

    제왕절개분만,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포괄수가제에 적용되는 질병군은 어떠한 병원을 가던

    책정된 진료비만을 지불할 수 있습니다.

    포괄수가제 적용대상은 전국의 병원 및 의원입니다.

    단 종합병원이나 상급의 종합병원은 포괄수가제를 신청한 병원에만 적용됩니다.

    포괄수가제 장단점

    이 포괄수가제에 대한 의견은 찬반이 매우 확실하게 갈리고 있는 편인데요

    가장 크게는

    포괄수가제로 인해 진료비가 획일화된다면 가격이 낮아지는만큼 의료 서비스의 질 역시 떨어질 것이란 의협의 입장과

    일부 병원들은 필요 이상의 의료서비스에 필요 이상의 진료비를 받고 있다 생각되어 소비자들의 손해를 줄여야한다는

    보건복지부의 입장이 있구요.

    이에 따라서 사람들의 찬반 의견이 더욱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포괄수가제 장점

    1.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2. 건강보장 관리시스템 개편

    3. 지불보상제도 개편

    4.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포괄수가제 단점

    1. 저하된 의료서비스

    2. 재벌보험회사들의 수익 증가

    3. 평준화된 의료방법,진찰

    4. 합병증으로 인한 추가비용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포괄수가제란?

    - 환자가 입원해서 퇴원할 때까지 발생하는 진료에 대하여 질병마다 미리 정해진 금액을 내는 제도입니다. (같은 질병이라도 환자의 합병증이나 타상병 동반여부에 따라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모든 질병에 적용하는것이 아니고 7개 질병군으로 백내장수술(수정체 수술), 편도수술 및 아데노이드 수술, 항문수술(치질 등), 탈장수술(서혜 및 대퇴부), 맹장수술, 제왕절개분만, 자궁 및 자궁부속기(난소, 난관 등) 수술(악성종양 제외) 등에 적용합니다.

    ○ 포괄수가제는 환자의 의료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지만 전반적인 의료서비스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포괄수가제란

    포괄수가제 적용을 받는 특정 질환들이 있습니다. 그 질환들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수술, 약값 등이 미리 산정 되어서 그 미리 산정된 금액만 지불을 하면 됩니다. 약을 얼마나 썼든, 그 특정 질환으로 얼마나 수술을 했든, 상관없이 미리 측정 해 놓은 금액만 지불하면 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너무 긴 입원 등을 한다면 약간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리 정해진 가격이 있기 때문에 진료비가 얼마나 나올지 대략 먼저 알 수 있고, 이 질환을 치료하는 데 혜택이 뭐는 되고 뭐는 안 되는 등의 문제가 없다고 해요.

    지금 말이 많은 이유는 항암 치료제 때문입니다.

    기존 2021년 까지 신포괄수가제 적용을 받았던 효과좋은 항암치료제를 2022년 부터는 혜택 적용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외료혜택을 통해서 1회에 500만원 하는 항암 치료제를 30만원만 내면 맞았던 환자분들이

    이제는 1회에 500만원 그대로 납부를 해야 한다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복환 보험전문가입니다.

    신포괄수가제란?

    포괄이라는 단어의 뜻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포ː괄, 包括 명사

    = 사물·현상을 어떤 범위나 한계 안에 온통 끌어넣는 것.

    자 그렇다면 건강보험공단에 포괄하는 범위에서 빠진다는 말은

    말 그대로 약제나 치료비등을 보상하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지금 해당 사항이 논란이 된 이유는

    그동안 2군 항암제

    즉 표적항암치료제로 보상되던 약제들을

    전부 보상하지 않겠다는 말인데요.

    가장 말이 많은 키트루다 약제의 경우

    흑색종, 자궁내막암에 쓰이던 약제로

    3주에 1회당 30만 원밖에 안 했었는데,

    이번 개정으로 인해 회당 560만 원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과거 산정특례로 암 진단시

    95%까지 보상되던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이번 개정으로 인한 장점이라면

    건강보험공단 재정이 조금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 말고는 없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06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포괄 수과제의 경우 질병의 같은 질병에 대해 치료 내역에 관계없이 동일한 금액을 납부하는 제도 입니다.

    때문에 같은 질병이라면 병원마다 진료비가 같고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지 동일한 진료비를 받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 질이 저하될 수도 있고 같은 질병이라도 중증도 환자의 진료를 기피할 수도 있는 단점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