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어쩌면친화적인악어
어쩌면친화적인악어

육아를 하면서 부모가 가져야 할 자세는 무엇인가요.

육아를 하면서 부모로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부모님들은 아이를 키울 때 기준을 가지고 어떤 부분의 중요성을 목표로 육아를 하게 됩니다. 그 원칙은 무엇이며 그 원칙을 실천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하고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연 아이가 어떤 어른으로 자라는 것을 원하는지를 잘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공부를 잘해서 성공하는 사람, 사람과의 원만한 관계를 맺는 사람 등

    다양하겠습니다.

    그에 따라 부모의 교육적인 방향성이 정해질 것 같습니다.

    인성도 좋고 공부도 잘하기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말 그대로 자신의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키워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자존감이 높은 사람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도 필요하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으로 자랄 수 있게 도와주는 것도 부모의 몫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육아를 하면서 부모님이 가져야 할 자세는 무조건 온화한 마음을 가져주셔야 되겠습니다. 우리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화가나는 경우가 많이 있을텐데 이경우에는 화를 내지 않고 아이를 유하게 대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폭력적인 아이로 키울실께 아니라면 화를 최대한 참아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자존감 높이기

    부모의 자존감 이 높을수록 아이의 자존감도 함께 높아 집니다

    자기를 성찰하고 스스로를 신뢰하기

    부모로서 자신이 자녀의 양육을 책임질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의 기질과 특성 이해 하기

    자녀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파이팅입니다

  • 육아를 하면서 부모가 가져야 할 자세는

    아이는 하나의 인격체이기 때문에 아이를 함부로 대해서는 안된다 라는 것입니다.

    즉,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를 케어해 주셔야 합니다.

    또한 아이가 건강한 마음, 건강한 정신, 건강한 신체를 가질 있도록 아이의 몸과 마음, 인격 등을 잘 지도하고 길러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개인마다 그 원칙이 다를텐데요

    저는 제가 가르치는게 아니라 스스로 느끼게 해주는게 제 목표이자 원칙입니다.

    가르쳐서 아는것은 오래가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먼저 제가 솔선수범을 합니다.

    공부를 시키기전에 제가 아이 앞에서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공부를 시키구요

    휴대폰 금지를 시키려면 제가 아이앞에서 휴대폰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육아를 하면서 가장 큰 목표라고 하는 것은 우리 아이의 행복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해지고 싶어합니다. 그리고 나의 가족들도 모두 다 행복하기를 바라는 게 인간으로서의 가장 본능적인 삶의 목적이 아닐까 생각을 하는데요. 욱 한다는 것은 자신의 화를 참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수용적인 태도를 가져보세요.

  • 육아를 하면서 지켜야할 원칙이라는게 있으까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지켜야할 원칙과 철학이 있지만 가정에서 양육할때는 뭐 소리 지르지않고 인내하고 받아주며 사랑해주는게 좋은거 같아요

  •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라는 생각을 항상하고, 내가 하는 많은 행동들을 아이가 보고 배우고 따라한다는 생각을 하며 항상 제행동에 경계하고 되돌아보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