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거대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 개념과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원래 바이러스는 원핵 생물에 속하는 세균보다도 훨씬 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거대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 개념과 어떻게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일반 바이러스가 수십~수백 나노미터에 불과한 반면, 거대바이러스는 직경이 400나노미터에서 최대 1.5 마이크로미터에 달합니다. 이는 일부 박테리아 크기와 비슷할 정도이고, 광학 현미경으로도 관찰 가능한 수준입니다.

    특히 기존 바이러스가 보통 10개에서 수백 개의 유전자를 가지는 데 비해, 거대바이러스는 1,000개 이상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결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등 이전에 세포성 유기체에서만 발견된다고 알려졌던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거대바이러스는 바이러스와 살아있는 세포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며, 일부 과학자들은 이들을 제4의 생명 영역으로 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거대바이러스는 2000년대 초반 발견되면서 기존의 바이러스 개념에서 벗어난 존재인데요,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크고 복잡한 유전체를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직경이 수십~수백 nm 정도로, 전자현미경 수준에서만 관찰 가능하며 세균보다 훨씬 작습니다. 하지만 거대바이러스는 직경이 200~700 nm에 달하는 경우가 많아, 심지어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 가능할 정도로 크며 일부는 소형 세균만큼 크기 때문에 세균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또한 거대바이러스는 유전체 크기가 1~2.5 Mbp에 달하며, 수천 개 유전자를 가질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서 판도라바이러스는 약 2,500개 이상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일부 세균보다 많습니다. 게다가 전사, DNA 수선, 단백질 접힘, 심지어 아미노아실 tRNA 합성효소 같은 단백질 번역 관련 효소까지 암호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거대바이러스 역시 바이러스에 속하기 때문에 여전히 리보솜은 없으므로, 완전한 독립 번역 능력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거대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와 달리 일부 세균보다 크기가 크고, 유전체 또한 훨씬 복잡하여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일부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유전자 수가 매우 적어 숙주 세포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반면, 거대바이러스는 아미노산 합성 관련 효소 등 세포성 생물에서만 발견되던 유전자를 일부 보유하고 있어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대한 기존의 바이러스 개념에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