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탁월한거북이263
탁월한거북이26322.03.01

'24시간 방재실 근무 단속적 근로자의 임금 계산' 방법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 '24시간 방재실 근무 단속적 근로자의 임금 계산'

[예시.1] : 24시간 4조1교대제 근무자(08:30~다음날 08:30까지) 임금 계산

- 휴게시간 없음

- 야간근로시간 (22:00~06:00시간대) 50% 가산시간 적용

- 소정근로시간 : 365시간 = 24시간 × 30.4일 ÷ 2 (격일) ≒364.8

- 야간가산시간 : 60.8시간 = 8시간(야간근로시간) × 30.4일 × 50% ÷ 2 (격일)

= 총 근로시간 : 426시간

= 월 최저임금 3,714,720원 지급 (426시간 × 8,720원(2021년 최저임금 기준))

[예시.2] : 24시간 4조1교대제 근무자(08:30~다음날 08:30까지) 임금 계산

- 휴게시간 : 주간 1시간(12:30~13:30)

- 휴게시간 : 야간 3시간

- 야간근로시간 (22:00~06:00 시간대) 50% 가산시간 적용

- 소정근로시간 : 304시간 = (24시간-4시간(전체휴게시간)) × 30.4일 ÷ 2 (격일)

- 야간가산시간 : 38시간 = (8h(야간근로시간)-3h(휴게시간)) × 30.4일 × 50%÷2(격일)

= 총 근로시간 : 342시간

= 월 최저임금 2,982,240원 (342시간 × 8,720원(2021년 최저임금 기준))

수고하십시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당비비휴

    감단 승인, 휴게시간 없는 것으로 가정시

    소정근로시간 = 182.5시간

    야간근로시간은 60.8 (30.4)

    총 213시간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연장근로 시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가산되어야 하며, 연장근로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22시부터 06시 사이에 근무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추가로 가산되어야 합니다.휴일근로 시 8시간까지는 통상임금의 50퍼센트, 8시간 초과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00퍼센트를 가산합니다.

    통상임금은 1) 법기준 근로시간 또는 그 이내에서 정한 근로시간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기본급 임금과 2) 노조와의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고정적․일률적으로" 1임금산정기간(즉, 1개월)에 지급하기로 정하여진 고정급임금으로 구성합니다(노동부 예규 327호 통상임금 산정지침).

    통상임금 산정기준 시간수는 주의 통상임금산정시간에 I년간의 평균 주수를 곱한 시간을 12월로 나눈 시간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인 1주 40시간이라면 월급여에서 통상임금 해당분을 통상임금 산정기준 평균시간수인 209시간으로 나누면 시간급 통상임금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 209시간 = (주40시간근로+주휴8시간) × {365일 ÷7일÷12개월}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예시1.

    - 실근로시간: 1일 24시간*365일/2= 4,380시간

    - 주휴시간: 8시간*365일/7일= 417시간

    - 야간근로가산시간: 1일 8시간*365일/2*0.5= 730시간

    - 월 통상임금산정기준시간: 5,527시간/12월= 461시간

    - 최저임금기준 월환산액: 461시간*9,160원= 4,222,760원

    예시2.

    - 실근로시간: 1일 20시간*365일/2= 3,650시간

    - 주휴시간: 8시간*365일/7일= 417시간

    - 야간근로가산시간: 1일 5시간*365일/2*0.5= 456시간

    - 월 통상임금산정기준시간: 4,523시간/12월=377시간

    - 최저임금기준 월환산액: 377시간*9,160원= 3,453,32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