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똘똘한천산갑246
똘똘한천산갑246
22.11.07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이유는?

11월 24일 한국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이 예상되고 있는 싯점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국내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정확이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금리인상 = 돈의 가치 상승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주식시장은 코로나 당시 풀린 유동성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금리를 인상하게되면 시중에 풀렸던 돈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은행에 다시 돌아오게됩니다.

    (이자비용 상승 / 예금액 증가 등등)

    따라서, 유동성이 줄어들면서 그동안 올랐던 효과들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 -> 기준 금리의 상승 ->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 상승 -> 안전하게 은행에서 이자만 받아도 수익률이 연 5~6% 예상

    -> 주식시장 매력도 하락(주식은 원금손실을 볼 수 있는 투자상품 + 연 5~6% 이상 주식으로 수익 내기 힘든 상황) ->

    -> 주식시장의 투자자들 주식 매도 후 은행으로 자금예치 -> 주식 매도로 인한 주식 가격의 하락

    의 프로세스로 주식시장의 하락이 진행됩니다.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돈 보다 나가는 돈이 많으면 이렇게 시장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투자와 소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것이 기업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추가적으로 기업들이 자금을 끌어오는데 드는 비용도 상승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모든 면에서 악재라고 볼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금리가 오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예,적금 등 '안전한 저축' 의 선호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게 될 개연성이 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님 같아도 금리가 높으면 주식을 사기보다는 그냥 은행에 예,적금을 넣으실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일반적으로 주식이나 코인 등의 자산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한국은행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를 합니다.

    기준금리 변경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리가 상승할 경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게 되어 자산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는 가계의 자산, 즉 (wealth)의 감소로 이어져 가계소비의 감소 요인이 된다.

    따라서 주식 등의 경우에는 악영향이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장큰 부분은 투자심리위축이 큰것이죠. 증시등 대부분 거래대금이 줄었고 대부분 자금이 예.적금쪽등 안전한 자산쪽으로 모이고 있는데 금리가 추가인상되면 이러한 심리가 더욱더 강해지기 마련입니다. 실제 주식등 불안전한 자산보다는 안전한 자산을 더 선호하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상된다면 사람들은 리스크를 감수하고

    굳이 주식시장 등에 투자를 하기보다는 안전하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예적금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되어 주식시장이

    하락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이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1.0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인상하면 주식의 대체자산인 채권의 수익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시중의 자금은 채권 쪽으로 몰리게 되고, 주식의 가격은 하락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