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한가요?
전세와 월세를 비교하면 월마다 나가는 금액 자체는 전세가 훨씬 적습니다. 그런데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는 사람들이 있던데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만약 시드 머니가 충분해서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전세를 살거나
아니면 전세자금 대출을 받아서 전세를 살더라도
전세가 유리하긴 합니다.
다만, 전세란 내 돈을 집주인의 선의를 믿고 맡기는 돈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아니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고 하는 이유는 전세는 큰 금액이 묶여있기 때문에 해당 금액을 투자하여 수익을 얻을수 있는 기회비용을 잃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투자로 수익을 얻을수 있다는 전제인데, 투자는 손실도 입을수 있으므로 잘 판단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는 주장은 전세자금의 기회비용을 고려한 것입니다.
전세는 큰 금액(예: 5억)을 묶지만, 월세는 보증금(예: 1억)이 적어 남은 자금(4억)을 주식,
채권 등 고수익 투자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월세 비용(예: 월 100만원)이 투자 수익(예: 연 10%)보다 낮으면 자산 증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투자 실패 리스크와 주거비 부담을 고려해야 하며, 전세는 자금 안정성이 높아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세는 목돈인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겨두는 방식입니다. 이 보증금은 계약 기간 동안 임차인에게 아무런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묶여있게 되고 그만큼 기회비용측면에서 최소한 시장금리만큼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부동산시장에서는 이런 기회비용을 통한 시장금리보다 월세가 상대적으로 더 비싼편이긴 합니다, 그런측면에서 이 월세보다 자산을 효율적으로 굴려서 그만큼 월세보다는 더 높게 나오는 수준이 아니라면 굳이 월세가 유리하다곤 볼순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월세가 자산 증식에 유리하다니 좀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맥락을 보면 전세에 목돈을 묶어두는 대신 월세로 살면서 그 자금을 투자에 활용한다는 얘기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전세 5억을 넣는 대신 월세로 살고 그 돈을 주식이나 채권에 굴리면 연 5퍼센트만 수익이 나도 연 2500만원쯤이 생깁니다. 반대로 월세는 매달 빠져나가지만 투자수익이 월세보다 크다면 자산이 불어나는 구조가 될 수 있다는 거죠. 물론 투자 성과가 안정적이어야 가능한 전략이고 변동성 리스크도 큽니다. 그래서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는 말은 투자수익을 전제로 한 조건부 해석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의 관점에서 보면 전세자금으로 월세비용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 전세보다 월세가 좋긴 할거 같습니다
2억 전세 넣음 2억이라는 돈이 잠기지만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70만원이라고 치면 1년 월세가 840만원이죠
2억 전세대신에 일단 1천만원만 보증금 넣으면 되니 1억9천만원 가지고 1년 840만원 이상 수익을 내면 된다는 생각이겠죠 대충 1년에 10프로만 투자수익을 낸다면 1900만원이니 월세 내고도 1000만원 더 버는 구조입니다
단!! 투자수익을 잘 낼 수 있다는 대전제가 있습니다!!
전세로 묶이는 큰 자금을 투자로 돌려서 월세 이상의 수익을 낸다면 가능한 얘기입니다.
전세는 큰 돈을 깔고 앉아 있는것이지만 월세는 그 돈을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투자가 잘 되었을때 얘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세로 다른 사람의 집에 살게 되면 월세보다 보증금이 월등히 많이 나갑니다.
자산 증식 관점에서 보면 목돈을 활용하지 못하고 묵히게 되는 셈이니 기회를 놓칠 수 있어서 목돈이 적게 나가는 월세를 살라고 얘기하는 것 입니다.
그러나 이건 이상적인 얘기이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사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월세가 유리하다는 건 자금을 묶지 않고 남는 목돈을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전세는 목돈이 안전하지만 기회비용이 크고, 월세는 현금흐름 관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세는 아무래도 전세보증금이 묶이는데요.
그자산을 투자로 활용할수있다는 측면이 있어서 월세가 유리한 측면이 존재합니다.
이는 선택의 문제인듯해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는 주장은 월세 비용과 전세보증금 투자 수익이라는 전제가 깔려있습니다. 즉, 투자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있고, 전세보증금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산을 불릴 계획이 있는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반면, 투자에 관심이 없거나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지출만 늘어나는 월세가 불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투자 성향, 자금 운용 계획,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주거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매매나 전세의 경우 큰 돈이 한번에 빠져나가서 이를 굴릴시드가 없어집니다. 따라서 자산을 굴려서 시드를 늘릴방법은 월세로 조금씩 내고 큰 돈을 굴려 월세비용이상 수익을 거두자 하는 부분을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다만 이것은 수익이 나지 않고 집 가격이 상승한다면 더 큰 손해가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 관점에서 월세가 유리하다는 사람들의 주장은 큰 목돈을 전세로 묶어두면 투자로 수익을 내는 것보다 손실이라는 주장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