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구조에 미치는 구조적 변화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미국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구조에 있어서 구조적인 변화를 향후에 어떻게 초래할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현재는 유예 기간으로 각 국가 별로 미국과의 협상을 위한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이 약화된다면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결과로 대미 무역흑자가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교역 구조가 미국 중심에서 글로벌 공급망의 다변화,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으로 재편해야 하는 시기이며 미국 내 생산기지 이동등의 보완책도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특정 국가에 대해 미국산 제품의 수입 비율을 기준으로 차별적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한국처럼 대미 무역흑자가 큰 국가에는 구조적 압박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미국에 수출하던 기존 구조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어, 가격 경쟁력을 낮추고 수출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미국 내 생산 확대, 현지 조립 또는 공동 투자 방식으로 무역 구조를 다변화해야 할 필요가 커집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의 대미 수출이 고부가가치 품목 중심으로 재편되고, 미국산 부품소재 수입 확대를 통해 무역수지를 균형화하려는 압력도 높아질 수 있어 무역 구조 전반에 변화를 유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우리나라 제2의 무역상대국으로 한미FTA를 기반으로 최근 많은 무역흑자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다만, 이번 트럼프 2기 정권에서 상호 및 보편관세를 부과하게 되어 현재는 10%(일부 품목은 25%)가 부과되는데 아무래도 이러한 추가적인 관세로 인해 무역흑자가 예전보다 많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이 지배적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한국의 대미 흑자구조는 수출감소와 수입확대 압박에 따라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특히 현재 가장 시급한 부분은 자동차 및 부품, 철강 등에 대한 고세율의 관세를 협상을 통해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또한 중간재에 대한 수출감소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이루어져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뿐 아니라 각국의 협상결과에 따라 전략을 수정해야 할 가능성도 생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구조에 중대한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 의약품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25%의 고율 관세 부과는 한국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 부과는 한국 기업들로 하여금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대하거나,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출을 고려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필요합니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구조를 재편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산 에너지 자원, 특히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프로판 등의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수입 확대는 미국의 무역적자 감소에 기여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관세 압박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통해 관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과의 고위급 협상을 통해 관세 면제나 인하를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국제 무역 질서를 유지하고,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국제적인 견제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