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섬유화가 된것같기도 한데요...
7월초순에 발목전거비인대쪽 외상으로 염좌가왔고 mri소견상 인대파열없고 좀 물이차있으면서 활액막염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렇게 심하다하시진 않았는데 7개월이지났는데 붓기는 일정수준지나니 그대로고 좀 집약되어서 단단?해지는 느낌이고 심한통증은 아닌데 욱씬거리는 통증이있어요
검색해보니 발목 염증으로인한 섬유화에의한 충돌증후군이라는말도 있더군요...ㅠ 보니까 엉겨붙은조직은 관절경으로 긁어낸다는데..그렇게까진하기싫거든요ㅜ.ㅜ
검색해보니 한의학에선 도침으로 그걸뭐 짜른다던데
한의학말고 양의학에서 수술없이 도침과 비슷한역할을 하는건 없을까요?.. 그리고 이게 냅두면 다른 연골이나 기능에 악영향을끼치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은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시고, 의학적인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확한 발목관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도침은 조직에가해진 자극을 회복하는 신체의 치유과정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양방에서는 프롤로테라피가 도침과 비슷한 원리로 적용하지만 도침은 침을이용한 직접자극, 프롤로테라피는 약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발목 염좌 후 7개월이 지나도 부어있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만성적인 활액막염, 섬유화로 인한 충돌 증후군, 혹은 염증 후 유착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의학의 도침처럼 섬유화된 조직을 풀어주는 양의학적 비수술 치료로는 충격파 치료(ESWT), 고주파 치료(RFA), 프롤로 주사(재생 치료), 초음파 유도하 주사 치료(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주입) 등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수 치료나 재활 운동을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방치하면 발목 가동 범위가 제한되거나 추가적인 연골 손상,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형외과에서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 염좌로 인해 7개월 이상 붓기가 남아 있고 단단한 느낌과 욱씬거리는 통증이 있다면 만성적인 염증이나 섬유화로 인한 충돌 증후군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초기에 생긴 염증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다면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지속적인 자극을 주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을 시도해보시고 그럼에도 해결이 되지 않는 다면 관절경 수술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있습니다. 국소마취를 해서 하는 경우 있습니다
단지 blunt trauma가 생기는 경우(가끔 골절도 생김)가 있기 때문에 선생님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 섬유화가 진행되면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방치할 경우 연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목 염좌 후 지속적인 통증과 부종은 섬유화나 관절 내 조직의 경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의학에서는 물리치료, 초음파 치료, 또는 주사 요법(스테로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주사 등)을 통해 염증을 완화하고 기능 회복을 도울목적으로 치료할수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수술 없이도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를받지않고 만약 방치할 경우, 염증이 지속되면서 주변 연골이나 관절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후에 결정하시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