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미국이 비트코인이나 AI에 돈 쏟는다는데 우리 수출도 가속되려나요

미국이 전략산업에 펀드 쏟아붓겠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AI 반도체나 배터리 얘기 나왔는데 우리 기업 수출 전략에도 우선순위 바꿔야 할까요 실제 효과 체감하시는 분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십니까, 원컨설팅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1. 미국의 현재의 기조

    • 미국의 돈줄 방향: 백악관은 7월에 AI 행동계획을 내고(교육·연구·인력·연방조달 확대), 반도체·인프라에 민간·공공 투자를 끌어들이는 구도를 밀고 있습니다.

    • 펀드 구조: 주식형 ‘국가펀드’ 대신 국가·경제안보 펀드로 전략산업(반도체·에너지·조선 등) 투자 자금을 유치하는 방향이 보도됐습니다.

    • 반도체·배터리: CHIPS 예산 일부를 핵심광물로 돌리는 방안이 대중 의존도 축소를 위해 검토 중이며. IRA·청정에너지 세액공제는 여전히 견조하되 일부 축소 논의가 병행됩니다.

    • 크립토/비트코인 측면: 401(k) 등 퇴직연금의 대체자산(암호자산 포함) 허용 방향의 행정명령, 친(크립토) 규제 톤 전환, 그리고 비트코인 보유(준비자산) 프레임이 가시화됐습니다. 직접 수입 수요를 만들진 않지만 데이터센터·채굴/인프라 수요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2. 한국 수출기업에 생길 직접 수요 시그널

    1. AI 서버·GPU 랙, HBM 연계 부품, 리드프레임·기판·패키징 장비, 액체냉각/침지냉각 설비, 모듈형 데이터센터, 초고용량 변압기·전력장치 수요 확대. (연방조달·민간 초대형 프로젝트에 얹히기 좋음)

    2. 미국 내 팹 증설은 해외 장비·소재 의존을 여전히 동반합니다. 포토레지스트, 분리막·세정가스, 고순도 화학, 테스트·후공정 장비에 기회. CHIPS→핵심광물 이동 검토는 한국의 정련·양극재·소재 연계 투자/공급 제안 타이밍을 앞당깁니다.

    3. IRA 세액공제(ITC/PTC, 주택·상용 에너지 크레딧)는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지탱. ESS, BESS 인버터·PCS, 열관리, 안전부품 수출에 우호적입니다. (일부 세액공제 축소 시도는 있으나 당장 수요 급감 신호는 아님)

    4. 크립토/비트코인 규제 톤 완화와 퇴직연금의 대체자산 허용은 채굴·거래 인프라 투자를 자극 → 전력장비, 냉각, 보안 모듈(HSM), 데이터센터 자재 수출 기회로 간접 연결.

    3. 정리

    • 대형사는 이미 AI·데이터센터 전력·냉각·랙 수주 문의 증가를 체감 할 수도 있다고 생각되며 (언론·기업 발표를 참고), 정책은 민간 메가캡 투자와 맞춰가야할듯 합니다. 다만 프로젝트 선정·인허가때문에 체감 속도는 지역별로 상이합니다.

    • 다만, 현재 한-미 무역협정에 따라 미국으로의 수출시 관세율이 15%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얼마나 감안하고 수출이 진행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할 듯 합니다.

    원컨설팅 (ONECONSULTING)

    * Tel. 051-995-1112, Fax. 051-995-1113

    * E- mail. one@oneconsulting.co.kr

    * 블로그: https://blog.naver.com/ccbjaesanglee

    * Customer Impress & Valuable Service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AI나 비트코인 인프라 같은 전략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건 결국 관련 장비나 부품을 공급하는 해외 기업에도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반도체, 배터리 분야 강점이 있어 미국의 수요 확대가 곧 수출 물량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현장에서 바로 체감되기보다는 미국 내 생산 조건이나 보조금 정책이 어떻게 짜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기업들도 우선순위를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AI 서버용 부품 쪽으로 더 맞추려는 분위기가 생기는 건 사실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요즘 전략산업이라고 해서 돈을 쏟는 분야가 비트코인 채굴 인프라나 AI 반도체 배터리 같은 쪽인데 이런 게 결국 우리나라 수출 구조에도 영향이 안 갈 수가 없습니다. 특히 AI 반도체는 미국 내 생산을 강화하려 해도 단기간에 공급망을 다 갖추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니 우리 기업이 설비나 소재 장비 쪽에서 기회가 열릴 수 있습니다. 배터리도 미국 전기차 산업 지원 정책이랑 맞물려서 수출이 늘 가능성이 있죠. 다만 실제 효과가 당장 체감되느냐 하면 그건 좀 애매합니다. 정책이 발표돼도 기업이 투자를 집행하고 발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니까요. 지금은 우선순위를 재조정해야 할 신호라는 느낌은 있지만 바로 수출 폭발로 이어진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은 반도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석유화학제품, 선박, 배터리 등이 있습니다.

    AI 등의 개발로 인하여 반도체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 시 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고대역대 메모리(HBM) 기술을 중심으로 AI 반도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시장이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도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기술 개발 등에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세계 기술 개발에 민감하게 반응 및 연구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AI, 반도체 등 전략사업에 대규모 투자 등을 하는 것은 한국기업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완전한 자의까지는 아니지만 현재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은 미국내 현지 투자와 공장 신설 등을 하고 있으며, 우리기업들도 미국 시장 전략을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협력강화와 함께 투자-수출 연계전략을 우선순위로 두는 전략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2차전지, 반도체의 경우 상당부분이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수출도 증대하겠지만 현재 관세의 부과로 인하여 기업들이 이러한 세금을 부담하면서 원자재의 수입을 늘릴 것인지에 대하여는 의문입니다. 따라서 현업에서는 지금 수출이 매우 크게 줄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