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직장인들은 보통 월급의 몇퍼센트를 저축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5

월급받으면 카드값,식비 등등 빠져나갈게 많잖아요 사람들마다 버는수입은 다르지만 보통 몇퍼센트정도 저축하는지 궁금하네요 재테크 제외하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의 20~30% 정도를 저축하는 것이 권장되며, 이는 개인의 생활비와 지출 패턴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저축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나이대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20대 및 30대 초반까지는 50% 이상 저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그러나 소비가 늘어가는 40대부터는 저축을 많이 못하고 30% 정도의 저축이나 향후 노후준비를

      하기도 빠듯한 상황입니다.

    • 제테크도 저축에 포함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수입이나 대출여부, 거주상황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기는 합니다.

    만약 돈을 잘 모은다 라고 하는 분들은 월 급여의 50%를 저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소득이 많을 수록 더 모으기 좋기는 하겠지만 평균 월급을 기준으로

    50% 정도만 모아도 정말 잘 모으는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본인의 상황에 맞춰 조절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평균적인 수치를 말씀드린다면, 일반적으로 30% 내외를 저축한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점차 주식, 가상화폐 등에 투자하면서 저축비중이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인이 월급에 몇프로를 저축하냐는 다들 틀리겠지만 고정지출비용이 얼마인지를 알고 그 고정지출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가용현금에서 몇프로를 저축하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50프로 이상은 해야한다고 생각하구요 주변에 많이 하시는 분들은 70-80프로까지 하시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개개인의 형편이 다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수치는 나와 있지 않지만 싱글이라고 생각했을 때

    최소 20% ~ 최대 80% 저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축을 하는 사람 기준이고요.

    처음에 말씀드렸던 것 처럼 상황이 좋지 않으면 하나도 저축을 못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직장인들은 보통 월급의 몇 퍼센트를 저축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서 조금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단 혼자 독립한 상황이라면 그래도 30퍼센트까지는 해야 하고

    부모님과 함께 사는 상황이라면 최대 6-70퍼센트까지는 저축이 가능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오던데요.

    40대는 30%이상도 나온다고 합니다.

    그니까 보통 월급의 50%이상 저축하면 어느 연령과 비교해도 확실히 잘하는 걸로 보면 됩니다. 그래서 보통 집살때도 매달 원리금 갚는 금액이 월급의 50%정도 되게끔 맞추는 걸로 집을 고르는걸 추천하곤 합니다. 이 이상은 사도 버티기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