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수입은 안하고 수출만 하는 국가도 있나요?

무역 적자, 흑자 얘기를 듣다가 생각해보면 수입은 안하고 수출만 한다면 적자가 나지 않을테니까 그렇게만 하면 될 것 같은데요. 혹시 수입은 안하면서 수출만 하는 나라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무역의 경우 서로 다른 나라에 위치한 당사자간의 수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정 국가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 수입을 금지하는 목적으로 무역장벽을 두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러한 무역장벽을 없애기 위해서 WTO(세계무역기구)가 출범하여 보다 공정한 국제무역질서의 확립과 장벽을 없애 교역의 자유화를 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국내산업 보호의 목적 등의 사유로 수입을 금지하기 보다는 수입량을 줄이기 위하여 관세 장벽이나 비관세 장벽(관세를 제외한 수입 억제 정책)을 통해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수입, 수출을 필연적으로 하고 있으나 무역수지 측면으로 보았을때 중국, 러시아, 사우디 아라비아, 노르웨이 등이 무역수지 흑자 국가로 나타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KITA) K-STAT에 접속하면 국가 수출입에서 수출 및 수입금액 국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총 249국가와의 교역현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순위가 뒤에 있을수록 교역량이 적은 국가인데 실제로 수출만 하고 수입만 하는 국가는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부족하거나 필요한 제품들은 수입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며, 세계의 공장이면서 자급자족이 어느정도 되는 중국 및 주요 국가라 하덜도 수입하는 양이 상당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종류의 국가는 존재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콩고와 같은 무역금지국가들도 불법으로 수출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출입의 경우 물류의 흐름상 양쪽다 존재할 수 밖에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중국과 미국과 같이 천연자원과 인적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경우에도 수입을 통해 필요한 물자 등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수입을 하는 이유는

      필요한 원자재와 상품을 확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 확대, 경제 성장 촉진 등의 이유가 있으며, 수입을 하지 않고 수출만 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다만, 사우디 아라비아와 같은 중동국가 들은 수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이러한 국가들도 전체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가격경쟁력 등의 원인으로 수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세계 무역이 이루어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자국의 우형 무형의 자원으로 경쟁력있는 상품을 만들어 수출하고 자국에서 필요로하는 상품을 자국 생산비용보다 낮은 가격으로 가격으로 수입하여 국민의 이익을 극대화 하려는 것일 것입니다.


      말씀하시는 것처럼 수출만하면 무역수지는 흑바이겠지만 국민의 후생의 강화는 어려워지고 활용가능한 자원의 고갈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인 국가의 형태를 가진 곳이라면 수입없이 수출만 진행하는 국가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K-STAT에 따르면 2022년 수입액이 가장 적은 국가는 몬트세랫, 바티칸 등이였는데, 해당 국가들도 아주 적은 물량의 수출자체는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