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5.25

우리나라가 아파트 분양시 선분양 정책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는 항상 모델하우스를 먼저 보고 계약을 한다음 나중에 집을 지어서 들어가는 방식을 쓰는데요.

장점은 계약금만 낸 다음 2년이라는 시간동안 목돈을 마련할 시간이 주어진다는 것이 있긴하지만 실제 지어진 집의 하자문제를 시공사에서 제대로 책임져주지 않는 다는 인상이 커서 단점도 큰것 같습니다.

외국의 경우는 집을 다 지어놓고 매매하는것이 일반적인것 같은데요. 왜 우리만 이런 정책을 쓰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공인중개사입니다.

    외국보다 우리나라 주거형태가 아파트에 더욱 집중되어 있습니다.

    선분양, 후분양 모두 장단점이 뚜렸하여 어느것이 더좋다 선뜻 말하기는 힘드나 그래에는 수요자의 요청에의해 후분양도 늘고 있는추세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후분양의 경우 건설사 입장에서는 건설에 필요한 자금확보가 유용합니다. 이유는 선분양자들의 계약금과 중도금을 받아 공사를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질문과 같은 단점도 있지만 공급에 있어 중소형 건설사들도 시장 참여가 가능해져 주택공급량 자체가 늘어날수 있습니다. 즉 인구대비 주택이 부족했던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급증가목적에서도 유리했습니다. 후분양의 경우는 분양자 입장에서는 완공된 주택의 상태등을 체크하고 즉시입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양가 자체가 선분양에 비해 상당히 높게 책정됩니다. 이유는 건설사 자금확보에 드는 이자비용등이 선분양보다 크고, 건설이후 시세변화 맞추어 분양가를 산정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대박 공인중개사입니다.

    일종의 후분양 시스템을 말 하시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현재 선분양 하여 분양대금으로 아파트를 다 짓고 나중에 사업을 종료 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면 건설회사는 처음에 돈이 없어도 분양이라는 것을 통해 건설비를 대출 받아서 아파트를 짓고 입주를 시킵니다.

    그 단점이 부실시공입니다. 차차 우리나라도 책임감 있게 건설사가 먼저 아파트는 짓고 나중에 매매 형식으로 가는 후분양

    시스템으로 가야 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경기를 호황시키기위해 돈없는 건설사들도 신축아파트들을 짓게하기위해 선분양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건설사의 자금으로 하는것이 아니라 PF대출과 계약자들의 계약금,중도금으로 사업을 하다보니 미분양되거나 하면 연쇄부도가 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사의 자금유동성을 증가시켜 금융비용절감때문입니다

    그리되면 자금흐름 또한 건설사쪽이 좋아져서 더많은 건설을 할수있어 공급또한 늘어나기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