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습니다
적년 8월 말에 무거운거 들다가 손목에 염좌가 발생했고 지금까지 통증이 있습니다. 주사 여러번, 프롤로주사, 충격파 15회, mri까지 찍었습니다.
심지러 도수치료 4번, 침까지 맞았습니다.
mri결과는 이상없음 이었고 엑스레이 상도 초음파 상도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
근데 손목을 비틀거나 힘들줘서 움직이면 통증이 있습니다.
원래 헬스를 했는데 못하고 있다가 수부외과에서 그냥 운동하라길래 손목 강화 운동만 조금 하고 있고 그마저도 한 달 좀 넘었습니다.
근데 통증이 그대로 있습니다. 스트레스 받아서 미쳐버릴거 같은데 손목이 원래 오래 가나요? 아무리 그래도 6개월은 좀 너무한거 같은데 수부외과 말고 재활의학과를 가야할까요?
튀어나온 뼈 옆 부분이 6개월 넘게 아픕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는데 수술 받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손목의 염자 후에 통증이 6개월이상 지속되고있다면 인대나 연부조직의 손상이 완전하게 회복되지않았거나 만성통증으로 발전했을 가능성이있습니다 병원에서 문제가없다고 진단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지금 증상이 계속된다면 다른병원에 방문해 검사를받아보시는게 필요할수있습니다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 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보통은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물리치료등을 통해서 호전될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손목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다면 재활의학과를 방문하여 추가적인 평가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mri와 엑스레이에서 없더라도 만성 통증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재활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여부는 최종적으로 전문의와 상담후 결정해야 합니다. 스트레스가 크시겠지만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개선될 가능성이 있으니 희망을 가져보세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으로는 정확한 상태 파악이 어려우나, MRI, 엑스레이, 초음파 모두 정상인데도 통증이 지속되는 상태라면, 몇 가지 가능성을 다시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손목 관절의 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능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손목 인대 삼각섬유연골복합체, TFCC가 미세하게 손상되었거나 손목 관절이 불안정하면 통증이 계속될 수 있고, MRI에서도 경미한 손상은 잘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손목의 건 힘줄이 만성적으로 염증이 생긴 경우, MRI에 큰 이상 없이도 계속 통증이 지속될 수 있고, 특히 헬스를 하셨다면, 손목을 자주 사용하면서 반복적인 자극이 누적되었을 가능성 있습니다.
혹은 손목의 신경이 눌려서 통증이 지속될 수도 있고, 특히 손가락 끝이 저리거나, 찌릿한 느낌이 있다면 신경 문제일 가능성이 존재 합니다.
드물게 일부 미세 골절이나 연골 손상은 초기 MRI에서 잘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6개월 넘게 통증이 지속되었다면, 추가 정밀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 손목에 테이핑이나 보호대 착용을 통해 과도한 움직임으로 손목을 보호해주시고 따듯한 온찜질을 통해 혈류 개선 및 회복을 촉진시켜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손목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육에 대한 운동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손목 부상으로 인해 장기적인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부상 부위가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부근인 경우, 해부학적으로 구성이 연부조직이 주가 되기 때문에, 치료에 오랜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손목강화운동을 지속하시는 것은 좋은 방법이지만, 치료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통증이 오래지속되신다면 다른 병원에도 방문하셔서 재활을 지속해보시는 방법도 고려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염좌는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이 되지만, 염좌에 따른 손목의 통증이나 불편함은 재활 과정에서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손목은 반복적인 사용이나 부하가 걸리는 부위이기 때문에,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는 조금 더 깊은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재활의학과를 방문해 추가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튀어나온 뼈 옆 부분에 대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 여부에 대해 수부외과 의사와 다시 상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