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비슷한 ETF가 있는데 어떤 차이일까요?
Tiger 미국 나스닥 100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과 Tiger미국나스닥100커비드콜(합성)이라는 ETF가 각각 있습니다.
둘다 이름에 나스닥 100이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지수같은데요.
타겟데일리커버드콜 같은경우에는 이전에 15% 배당을 준다고 해서 +15%프리미엄이라는 이름이 붙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커버드콜(합성) 또한 대략12% 정도의 배당을 주는 것 같은데 둘의 차이는 배당율 말고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주가의 움직임을 보니 조금 다르게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지수를 추종하는 것 같지가 않아보이는데 둘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옵션 등의 비중 등이
다시 차이가 날 것이며 합성상품은 스왑계약을 통하여
기초지수의 수익율을 따라가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데일리 커버드콜은 말 그대로 날마다 이러한 커버드콜을 거래하는 등
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커버드 콜과 합성이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커버드 콜은 결국 특정 자산을 매수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을 통해서 일정한 수익을 주는 것입니다.
여기에 커버드 콜 합성은 아마도 환율 헷지를 해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것은 배당률의 차이라고 보이며, 그 외적인 것은 세부적인 지표나 내용을 확인해봐야 하는 것 같습니다. 지수를 추종하는 퍼센트 차이도 발생할 수 있고요. 그리고 해당 종목을 매매할때 발생하는 수수료의 차이나 etf매매에 따른 수수료의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잇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타겟 커버드콜은 말그대로 타겟을 정해놓고 운용하는 전략입니다. 커버드 콜은 콜옵션을 매도 해서 옵션프리미엄(옵션 팔아서 받는 돈)으로 수익 얻고, 기초자산 전체를 다 옵션매도 안했다면 자산이 남았으니, 이 자산 가격이 오르면 상승분도 같이 얻는 것입니다. 근데 타겟 커버드 콜인 처음에 옵션프리미엄 타겟(목표금액)을 정해놓고 운용한다는거죠.
그리고 합성은 해당 운용사가 직접 운용하는게 아니라 다른 회사가 하는거 가져와서 다리만 놔준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재외주처리 되는거죠. 그래서 아무래도 한다리 더 건너서 하는거다보니 수수료 더 비쌀 확률이 있습니다.
Tiger 미국 나스닥 100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과 Tiger 미국 나스닥 100 커버드콜(합성)은 모두 나스닥 100 지수를 기반으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먼저, 운용 방식에서 Tiger 미국 나스닥 100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은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면서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합니다. 반면, Tiger 미국 나스닥 100 커버드콜(합성)은 합성 방식으로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며 동일한 콜옵션 매도 전략을 사용합니다.
두 번째로, 콜옵션 매도 시점에 차이가 있습니다.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은 매일 콜옵션을 매도하지만, 커버드콜(합성)은 매월 콜옵션을 매도합니다.
세번째로, 배당 수익률에서도 차이가 나타납니다.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은 2023년 12월 기준으로 약 15%의 배당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커버드콜(합성)은 같은 시점에 약 12%의 배당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가 움직임을 보면, 타겟 데일리 커버드 콜은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배당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나스닥 100 지수의 상승률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커버드콜(합성)은 지수가 하락할 때 지수의 하락률보다 낮은 하락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대로 설명 드리면 두가지의 차이는 운영 방식과 전략의 차이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타겟 데일리 커브드 콜의 경우 하루 단위로 커버드 콜 전략을 실행합니다. 매일 보유한 나스닥 100주식에 대해 콜 옵션을 매도하여 프리미엄을 수취하고 이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배당으로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반면에 커버드 콜(합성)은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면서 일정 주기로 커버드 콜 옵션을 매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캔들차트는 18세기 일본의 상인 호마 무네히사에 개발되었습니다. 그는 당시 쌀 거래를 하며 시장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캔들차트를 사용했습니다. 이 차트는 가격 변동을 시각화하는데 효과적이며 후에 서양에도 전해져 현대 주식과 금융 시장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캔들차트는 하루 동안의 가격 변동을 '양봉'과 '음봉'으로 표시해 매도와 매수의 힘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