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건장한검은꼬리255
건장한검은꼬리25524.02.27

자고 일어나면 거실이나 안방에서 깰 때가 자주 있습니다. 혹시 심각한 병일까요??

나이
17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올해들어 일어난 일은 아니고 몇년정도 있었던 일입니다.

자다가 일어나면 거실 쇼파나 안방에서 깨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을 가끔 희미하게 기억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은 기억하지 못합니다. 자는 곳을 옮기는 것 말고는 다른 수면중 행동은 없습니다.(아주가끔 새벽에 수면중 깨서 음식을 먹을때가 있는데, 이때는 확실히 기억을 합니다) 지난 3년간 꾸준히 우울증 약을 복용을 하고 끊은지 반년정도 됐는데 혹시 이게 원인일 수도 있을까요? 정확한 진단은 정신과에 가서 받아야 하겠지만 우선 걱정이되어 질문 남겨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수면장애, 특히 몽유병을 의심해보아야 하겠습니다. 수면 중 부상입을 위험이 있으니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진료받아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수면중 각성과 관련된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맞겠습니다. 흔히 아시는 몽유병이 이 질환군에 들어갑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맞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면 중 위치 변경과 이에 대한 기억상실은 수면 장애 중 하나인 '파라솜니아'(Parasomnia)의 일종일 수 있습니다. 파라솜니아는 비정상적인 수면 중 행동, 감정, 인식, 꿈의 경험을 포함하며, 수면 걷기, 야식증후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약물의 복용 및 중단이 이러한 증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일부 우울증 약물은 수면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약물 복용의 변경이나 중단 후에도 일시적인 수면 패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수면 장애 전문가 또는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진단 및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