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외로운진도개68
외로운진도개6823.12.18

전세대출 보증보험이 의미가 있나요???

요즘 전세사기가 많아서 보증보험 들어도 돈 못돌려받는다던데...보험드는게 더 안전한게 맞나요??...

아파트도 전세사기 많이 당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보험이 있어도 지급거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이는 지급에 필요한 권리를 유지하지 않았을때 발생되면 정식적으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변동없이 갖추고 만기가 되었다면 거의 지급이 됩니다. 즉, 없는것보다는 있는게 비교불가할 정도로 안전합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경우도 전세사기를 당할수 있습니다만 빌라나 오피스텔등에 비해 시세가 정확하기 때문에 깡통전세등의 피해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보험을 들어 놓고 보증보험에서 원하는 조건을 지킨다면 보증금을 받을수 있습니다

    또 아파트는 집값에 비해 전세가가 더낮기때문에 보증보험도 100%가능해서 전세사기를 당하는 확률이 낮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보험은 전세 계약을 체결한 이후, 시간이 지나 전세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전세 보증금 반환을 책임지게 되는 보험입니다. 이 보험은 임차인이 전세금을 보전받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보증보험 구조를 이용한 전세 사기가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보증보험 가입 시 전세금이 액수와 상관없이 전세금 전액을 보장해준다는 점을 악용해 매매 가격 이상의 전세 계약을 체결하거나, 임대인을 신용불량자 등으로 교체해 기획 파산을 발생시키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전세금을 받도록 하는 수법이 횡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전세 사기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파트에서도 전세 사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서, 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전세 계약을 체결할 집의 상황을 철저히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증보험 가입 시에는 보험의 조건과 보장 범위를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