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아파트 가격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우상향하는건가요?
우리나라의 아파트 가격은 서울 및 수도권, 광역시중심으로 보면 지속적으로 계속 우상향 하는건가요?
상승했다가 잠깐 주춤하고 다시 상승하던데 계속 올라갈까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상급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수요는 점점 더 늘어날테니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속 오르지만은 않습니다
정부정책이나 또다른 이유로 떨어졌다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형태로 유지가 됩니다
요몇년동안 미친듯이 올랐다가 2~3년동안에는 떨어지고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 않다가 요즘에 서울,수도권은 지역이 좋고 저렴한 매물부터 매도가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 수는 줄고 있지만 세대 수는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돈의 값어치는 계속 저하되고
아파트는 빠르게 찍어 낼 수 없으니 우상향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주택이 나오지 않는 이상 신축아파트는 우상향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파트는 전형적인 투자 자산이기에 계속해서 우상향을 할 것 같기는 합니다.
다만 위아래로 흔들면서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내가 살 때 피살수도 있고 내가 팔때 쌀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동산 역사는 10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결국은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보이고 있습니다.
즉 오를때는 가파르게 오르다가 거품이 걷히고 어느 정도 조정이 일어나면 다시금 부동산 시장이 좋아져서
다시 올라가고 이러한 현상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넵!!통계청발표에 2035년까지 서울의 1인가구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것은 주택이 지속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뜻하고 공급의 제한은 가격의 상승과 맞물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