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단단한딱따구리66
단단한딱따구리66

2000년 척추유합술로 mri를 찍을 수 없어요

성별
남성
나이대
68

2000년 교통사고로 경추부 4-5, 5-6번에 척추유합술을 했습니다. 금속물 삽입을 통한 골융합을 했는데 당시 의사가 앞으로 mri를 못찍는다 했습니다.

현재 허리 통증이 너무 심해서 똑바로 누울수조차 없고 다리에 힘이 풀려 하반신이 마비 상태입니다.

병원에서는 mri를 안찍으면 해줄 수 있는게 없다고만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당시 수술기록지 등 남아있는게 없고 수술했던 안세병원도 폐업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MRI를 찍을수없는상황이라면 다른검사방법을이용해서 검사할수있는지, 또 다른치료방법은없는지 확인해보는것이 좋은데요 지금다니고있는병원에서 적극적인 치료를해주지않는다면 다른병원으로 내원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통증이 너무 심해서 똑바로 누울 수 없으며 다리에 힘이 빠지고 마비 증상이 있다면 이는 척추관 협착증이나 디스크 탈출 혹은 척수 손상등의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에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과거 금속 삽입 여부에 따른 MRI 가능성 여부 같은 경우 어떠한 금속 재질을 넣었나에 따라서 가능 여부가 결정 될 것으로 생각되기에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담 가져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상황이 복잡하고 몸 상태도 좋지않으셔서 많이 답답하실것 같습니다.

    우선 첫번째로는 과거 수술했던 병원에 해당되는 보건소에 전화해서 수술 기록지 또는 진단서를 보관 하는지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 기간에 따라 어느정도 소멸 될 가능성은 있지만 그래도 도움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두번쨰로는 타병원에도 협진을 통해 꼭 MRI 촬영뿐만이 아닌 근전도검사, 신경전도 검사를 하셔서 지금과 같은 하반신 마비의 원인을 찾을 수 있는 지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

    세번쨰로는 요즘 최신 MRI 기계는 금속 보정 기술이 있는 기계가 있기에 찾아보시는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과거 수술시 무슨 종류의 금속을 했는지 가족분들 또는 기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금속에 따라 MRI에 안전한 금속들도 있습니다.

    지금으로썬 여러 병원과 현병원에서 다른 대체방법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해보시고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치료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일이 잘 해결되어 건강한 삶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금속물 삽입이 있어도 최근 MRI는 대부분 촬영 가능합니다. 특히 티타늄 재질이면 문제 없는 경우가많습니다.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 현재 금속 재질 확인을 위한 엑스레이나 ct촬영을 먼저해보세요 수술기록이 없더라도 영상으로 금속 종류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가능 여부 판단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하반신 마비 증상은 신경의 압박이나 손상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엑스레이나 CT같은 방법을 통해 수술 시 사용된 금속의 종류와 위치를 파악하거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과거 내역을 조회하여 MRI 검사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확한 방법에 대해서는 진료를 받고계시는 병원이나 다른 의료기관 또는 의료진이나 관련기관에 문의하여 적절한 조치에 대해 정보를 얻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국내에 MRI가 처음 도입된게 1980년대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그 전에는 치료를 하지 못했을까요?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아마도 해당 병원의 이야기는 "자세한 자료 없이 치료를 시도하게 되는 경우 해당 치료에 동반되는 위험을 감당할 수 없다"는 뜻일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충분한 자료 없이 환자분을 위해서 치료를 시도하더라도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 아무래도 여러 가지 자료의 도움을 받아서 시도하는 것보다는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입니다. ) 환자분이나 병원이나 서로서로 힘들 수 있을 테니까요.

    이런 경우는 환자분이 상급병원을 찾아보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대학병원을 알아보세요. 혹은 이러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병원을(외국 병원도 있으니까요) 알아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

    CT촬영 등으로도 정확한 병변의 위치 파악은 불가능하겠으나, 대략적인 병소 파악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병원 이외에 다른 곳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mri영상이 병변 파악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으나, 증상 호전을 위해서는 CT만으로도 진료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ㄷ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