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화끈한도마뱀93
화끈한도마뱀9322.12.16

완벽하려는 성향인거같은데 냅둬야하나요?

저희 7살 아이가 조금 완벽하려는 거 같아요

큰 문제는 아니구여 . 그림을 그린다던지 미술작품을 하고있을때 하다가 뭔기 마음에 안들면 처음부터 다시하고 또 다시 반복하다 짜증내고 안한다고 합니다

이럴때는 뭐라고 이야기하면 좋을까요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기본적인 욕구, 욕심입니다.

    누구나 본인이 충족할 수 있는 선이라는 것이 있고 아이는 그 선이 조금 더 높을 수도 있어요.

    조금 더 나은 결과물을 얻고 싶기 때문에 하는 것이기 떄문에

    보호자께서 나무라기 보다는, 잘 응원해 주시는 것이 좋아요. ^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의 아이들은 실패나, 실수를 두려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수, 실패, 이런 것들을 힘들어하고 두려워 하는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인 경우가 많답니다.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 부모님, 조부모님, 선생님 등이 결과에만 칭찬을 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욕구충족, 즉 자존감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려면 항상 과정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해야 해요

    결과가 아닌 과정을 칭찬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실수했을 때 기 죽이지 말고 그럴 수 있다 라고 쿨 하게 넘기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지금 그림도 너무 멋지다고 칭찬해주세요.

    그리고 결과보다 그 과정에서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아이가 결과에 집착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이들의 경우 교우관계에서 문제가 없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학습이나 기타 능력들이 뒷바침 되면 남들보다 뛰어난 아이로 성장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끈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의 마음에 공감해주시고 조금 쉬운 방법이나 약간의 도움을 주셔서 일을 끝마치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아요.

    싫어서 짜증내는 경우에도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며 아이의 짜증과 감정에 공감해 주셔야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6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완벽주의를 가지고 있다면 정서적으로 안정시켜주세요. 아이가 실수를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는 마음을 이해해주고 실수가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진심이 담긴 부모님의 괜찮다는 말에 아이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이러한 부담감과 강박관념을

    너무 갖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말도 해주시고 옆에서 많은 조언과 더불어서

    심리적으로 압박감을 탈피할 수 있게끔 여유를 가르쳐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은 성장하면서 수시로 바뀝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대충하는 것보다는 완벽한 성향이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더

    도움이 됩니다. 다만 아이가 그로인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주시는 것만 챙겨주신다면

    아이가 잘 성장할 것으로 생각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