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1

한국에도 리쇼어링이 발생하고 있나요??

최근에 미국이나 일본을 보면 리쇼어링으로 해외공장들을 자국으로 돌아오게 하는거 같은데 한국도 이런 리쇼어링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지난해 국내 복귀(리쇼어링)를 확인받은 해외진출기업은 24개사로 집계됐다고 합니다. 국내복귀 기업, 소위 '유턴 기업'은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리쇼어링법)에 따른 요건을 충족해 정부로부터 지원 대상 국내 복귀기업 선정 확인서를 받은 기업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관련 법이 시행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126개사가 리쇼어링을 선택했다고 하네요. 사실 이제 중국이나 베트남 인건비도 만만치 않기 때문 이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LG화학을 포함하여 24개의 해외진출기업들이

    리쇼어링을 한 것이 확인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쇼어링은 제조 및 기타 생산 활동을 해외에서 한 국가로 가져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인건비, 물류 또는 정치 및 경제적 안정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리쇼어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과 같은 국가의 인건비 상승과 무역 긴장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일부 기업은 생산 시설을 한국으로 되돌려 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는 기업의 생산 재조정과 투자 확대를 장려하는 "코리아 플러스"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이는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 2014년 해외진출기업복귀법 제정 이후 지난해까지 총 114개 기업이 국내로 복귀했다. 같은 기간 6839개 미국 기업이 자국으로 돌아간 것과 비교하면 1.6%에 불과합니다. 작년만 놓고 비교하더라도 한국은 26개에 그쳤지만 미국은 1884개에 달ㅅ납니다.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고 첨단 기술 경쟁에 대응하려면 최소한 주요국 수준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법인세 인하, R&D, 시설투자 세액공제율 인상 등 지원과 규제 완화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해외에 진출한 기업의 되돌아오면 세제혜택을 주는 리쇼어링 제도가 있으나, 과거 연구조사에 따르면 해외에 진출한 기업이 세제혜택 때문에 우리나라도 되 돌아오는 사례는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론 한국도 리쇼어링을 추진하고 있으나 미국이나 일본처럼 여러 여건이 유리하지 않습니다. 국토 면적도 좁고 인건비도 비쌉니다. 미국의 경우 주별로 세제혜택이 다르고 인프라의 다양성도 한국과 비교 대상이 아닙니다. 또한 미국은 멕시코나 인근 중미 지역도 리쇼어링 대상 지역이라 NAFTS나 CAFTA 지역도 리쇼어링 영역에 속합니다. 일본도 말레이시아, 인니 등이 광의의 리쇼어링 대상 지역이 될 수 있고 자국 내 제조업 인프라와 각종 지원책이 한국 보다 체계적입니다. 물론 인건비는 높으나 뛰어난 자동화 기술을 바탕으로 리쇼어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