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 부동산 외국인 소유자 중에 중국인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뭔가요?

한국 부동산의 소유자가 외국인인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외국인 국적 비율을 보면 중국인이 압도적이라고 하는데 한국 부동산 외국인 소유자 중에 중국인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중국은 사유지 허용이 안되는 나라다보니 우리나라에 구입을 많이 한다고 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 조선족들이 많이 들어와 있고 우리나라 집매수하는게 그렇게 까다롭지 않다는 이유가 크다고 봅니다

  • 정확한 이유는 알수 없겠지만 개인적인 판단을 한다면 중국은 자국내에서는 토지에 대한 보유가 불가하다는 점으로 인해 중국사람들 대부분은 토지를 소유하고 하는 인식이 높고 대체제로 전세계 각국의 토지나 부동산을 매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한국의 입지상 중국과 가깝기에 단시간 이동이 용이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편의나 수준이 높고 각종 문화(k드라마, k팝)등이 전파되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방문의사등이 높은 점등이 이유로 될수 있습니다, 3. 마지막으로 타국의 토지를 살 만큼의 부자의 숫자나 자금력이 중국이라는 나라를 따라가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중국내 최고수준의 부자들의 인구는 우리나라 전체인구와 맞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그만큼 다른 나라에 비해 토지를 구매할수 있는 대상인구가 많다는 점도 이유가 될듯 보입니다.

  • 우리나라 부동산 외국인 점유율은 전체 부동산의 0.9% 정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그 외국인 점유율중에 중국인 점유율은 65% 정도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다음으로 미국인, 캐나다인, 베트남인 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외국인은 내국인과 달리 대출 규제에서 자유로운 점이 매수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중국은 우리나라처럼 개인자산중 부동산이 80%정도 차지하고 있기때문에 중국인은 부동산투자에 관심이 뜨겁고 가까운 한국도 비슷하다보니 중국인 수요가 많은것으로 풀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중국 자체적으로 부동산 열풍이 불었고

    상대적으로 가까운 해외 부동산이 한국이면서, 외국 부동산에 대한 대출 규제가 거의 없었으니

    중국인들이 한국 투자를 많이 했습니다.

    현재는 중국도 헝다 파산 등, 부동산 열풍이 꺼지면서

    해외 부동산 투기 세력이 과거보다는 약해졌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중국은 인구가 많은만큼 해외투자를 할 수 있는 큰손들도 많습니다. 중국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한국부동산시장이 돈만 있으면 투자해놓기 좋을 수 있습니다.

  •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중국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유사하여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둘째,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거나 규제가 강화될 때, 중국 투자자들은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은 한국에서의 부동산 투자를 통해 이민 또는 자녀 교육 등의 목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 투자자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