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튼튼한흰죽지166
튼튼한흰죽지166
22.01.28

고정OT 임금계약서 이와 같은 경우 문제 있을까요?

기본적으로 주중 스케쥴 근무에 따라 주 36~40시간 사이에서 소정근로시간이 유동적인 5인 이상 사업장입니다.

매주 수요일 2시간씩의 연장근로가 있고 수요일이 공휴일이거나 연차휴가를 사용한 날일경우 해당 주에는 연장근로가 없습니다.

위와같은 사업장에서 아래와 같은 근로계약서 작성 시 문제 소지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1) “갑”과 “을”의 연봉계약기간은 20__년 _월_일 20 __년 _월 _일 까지로 한다.

기본급 (월) : 2,650,000 원
식대 (월) : 100,000 원
고정연장근로수당 (월) : 250,000 원

2) 스케줄 근무에 의한 소정근로시간 및 연장근로시간의 산정은 상기 언급한 사항에 의한다. 평일 1회 연장근무(18:00~20:00) 시 발생하는 연장근로시간은 월 최대 1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해당 월의 실제 연장근로시간이 10시간 미만인 경우에도 위의 연장근로수당을 고정적으로 지급한다.
(연장근로수당 산출 = 연장근로시간 X 통상시급 X 1.5 + @)
----------------------------------------------------------------------------------------------------------------------------------------------------------------------------------------------------

근로계약서 중 일부를 발췌했습니다. (2번의 상기 언급한 사항은 주36~40시간 근무에 관한 내용입니다.)

실제로 기본급과 식대를 토대로 연장근로수당을 산출하면 월 최대 250,000원이 좀 안되긴 하는데 그냥 근로자와 사용자간의 협의로 +@를 붙여서 매달 위와같이 고정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한다고 했을때 계약서상에서의 노무적인 문제가 있을까요? 문제가 있다면 어떤 부분이 문제이고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단순하게 특정 문구를 복사 붙여넣기한 답변이 아닌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