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는 정말 유해종인거 맞는지 궁금 합니다.
주변에서 그러던데요 까마귀를 보면 다들 불길하거나 좋지 않는 새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고
까지는 길조로 여기는데 어떤 사람은 까치가 유해종이다 하면서 좋지 않게 보던데 맞는지 궁금 합니다.
까치는 일반적으로 길조로 여겨지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유해조수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까치는 곤충과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역할을 하지만, 농작물이나 작은 새의 알과 새끼를 먹어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특히 도심이나 농촌에서는 쓰레기를 뒤지거나 전선에 둥지를 틀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까치는 환경과 상황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무조건 유해조수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까치는 법적으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는 건 사실입니다. 다만, 생태계에서도 필요한 존재이기 때문에 자연의 소중한 일원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까치(Pica pica sericea)는 한국에서는 길조(吉鳥)로 여겨지는 새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유해종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까치는 지능이 높은 조류로, 까마귀(Corvus spp.)와 함께 조류 중에서 가장 뛰어난 학습 능력을 가진 새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높은 인지 능력은 까치가 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먹이를 찾는 능력과 사회적 행동에서도 우위를 점하게 합니다. 까치는 원래 유라시아 전역에 서식하는 새로서, 자연생태계에서는 곤충, 작은 설치류, 곡물, 동물 사체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잡식성(omnivorous) 습성을 보입니다. 이는 까치가 생태계에서 청소부(Scavenger) 역할을 수행하면서 유기물 분해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가짐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까치를 유해 조류(pest bird)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특히 농경지나 도심 지역에서 까치의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고, 다른 조류의 둥지를 공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도, 전선 및 통신망이 손상되는 문제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까치를 유해종으로 일괄적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까치는 도심 환경에 적응한 대표적인 텃새이며, 해충(곤충류) 개체 수를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까치를 무조건적으로 유해 조류로 간주하기보다는, 그 개체 수를 조절하고 생태적 균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까치가 국가적으로 법적 유해조류로 지정된 바는 없습니다.법적으로만 본다면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맞습니다.
까치는 과일, 곡물 등 농작물을 쪼아 먹어 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고, 전봇대에 둥지를 지어 전선 합선을 일으키고, 이는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까치의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다른 작은 새들의 서식지를 침범하고, 먹이를 빼앗아 생태계 균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사람을 공격하거나, 배설물로 인해 위생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환경부는 까치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하게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네 그렇습니다. 까치는 진객을 맞이하는 길조인 동시에 '흉조'이기도 합니다. 유해야생동물이라 함은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종을 말한데요, 환경부는 2000년 9월 유해야생동물 관련 행정규칙을 개정하면서 기존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까치'에 더해 '전주 등 전력시설에 피해를 주는 까치'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까마귀는 일반적으로 불길한 상징으로 여겨지지지만
일부 문화에서는 지혜와 보호의 상징으로도 인식됩니다.
까치는 길조로 여겨지지만
농작물 피해를 많이 이르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