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이 동물은 어떻게 지정이 되었나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이 동물은 어떻게 지정이 되었나요?

누가 어느시대에 12 동물을 지정했는지 궁금합니다.

각각의 뜻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동양적 세계관에서 비롯되었고 기원은 중국의 은나라에서 시작되었는 이야기가 있으며 한나라 중기에 이르러서 방위나 시간을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자시(23~01시), 삼경 : 쥐가 제일 열심히 뛰어다니는 때

    축시(01~03시), 사경 : 밤새 풀을 먹은 소가 아침 밭갈이 준비를 하는 때

    인시(03~05시), 오경 : 하루 중 호랑이가 제일 흉악한 때

    묘시(05~07시) : 해뜨기 직전에 달이 아직 중천에 걸려 있어 그 속에 옥토끼가 보이는 때

    진시(07~09시) : 용들이 날면서 강우 준비를 하는 때

    사시(09~11시) : 이 시간에 뱀은 자고 있어 사람을 해치는 일이 없는 때

    오시(11~13시) : 말은 땅에서 달리고 땅은 음기이므로 말을 음기의 동물로 보고 이 시각을 말과 연계시킨다.

    미시(13~15시) : 양이 이때 풀을 뜯어 먹어야 풀이 재생하는데 해가 없다.

    신시(15~17시) : 이 시간에 원숭이가 울음소리를 제일 많이 낸다.

    유시(17~19시) : 하루 종일 모이를 쫓던 닭들이 둥지에 들어가는 때

    술시(19~21시) : 날이 어두워지니 개들이 집을 지키기 시작하는 때

    해시(21~23시) 야경 : 이 시간에 돼지가 가장 단잠을 자는 시간이다.

    이처럼 각 시에 활동하는 동물 순서로 12지간을

    정했다고 합니다.

    십이지간에서 동물들의 뜻은 이러합니다

    쥐 - 영리하며 매우 빠른 동물로 재앙과 농사의

    풍흉을 의미합니다

    소 - 과거 농사를 짓는 시대에서 에서 꼭 필요한 동물이었으며 부와 재산을 상징합니다

    호랑이 - 우리나라는 특히 산이 많고 과거에 대부분이 산간지방 이였는데 그렇기에 산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인간에게 도움을 주거나 친근한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토끼 - 전령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교적인 의미에서는 충성스러운 동물을 나타냅니다

    용 -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으로 만들어진 동물이며 과거 우리는 농사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였고, 그 사회에서 용과 왕은 동급으로 인식되는 동물이었습니다

    뱀 - 부정적인 짐승으로 오래 전부터 간주하였으며 간사스럽고 세속적인 동물로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말 - 굉장히 빠른 동물이며 동물이며 현실적으로 생동감이 있습니다. 그리고 뛰어난 순발력 등을 가지고 있으며 강인한 느낌을 주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양 - 착하고 온순한 동물로 여겨졌으며,설화속에서도 유순하고 인내심이 강하며 상서로운 동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원숭이 - 많은 동물 중에서도 가장 영리하고 재주있다고 인식되고 있으며 재능과 재주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닭- 신선하며 신통력을 지닌 동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닭의 울음소리로 시작을 하게 되는데

    그 소리는 한 시대를 시작하는 것으로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개 - 인간의 역사와 가장 오랜시간을 함께한 동물이고 충복의 상징을 나타냅니다

    돼지 - 부와 복의 상징으로 현재까지 여겨지고 있으며 재산이나 복이 들어옴, 집안에 있는 재물의 신을 의미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신(神)이 된 열두 동물 십이지 - 한국문화재재단

    https://www.chf.or.kr › brd › board › menu

    2021. 9. 30. — 십이생초가 신격화된 것이 바로 십이지신이다. 이들 십이지신 의 탄생 배후에는 고대인들의 천문 지리적 식견과 사유(思惟)를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욕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