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무역 품목과 대미 무역 품목은 각각 어떤 것들이 있나요?
작년에 미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이었다는데 그게 21년만이라던데요. 21년 동안은 중국이 최대 흑자국이었겠죠? 우리나라에서 수출한 미국과 중국 대상 품목들인 어떻게 다를까요?
![답변의 개수](/questions/_next/image?url=https%3A%2F%2Fmedia.a-ha.io%2Faha-qna%2Fimages%2Fcommon%2F3D%2Fanswer.png&w=64&q=75)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은 미국으로, 흑자규모는 684억 달러였습니다. 이는 2001년 이후 21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미국이 최대 흑자국이 된 것입니다.
한국의 미국과 중국 대상 수출 품목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고부가가치 품목
미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기계류, 선박, 화학제품 등
중국: 석유제품, 석탄, 철강, 화학제품, 기계류 등
2. 저부가가치 품목
미국: 섬유제품, 신발, 가전제품, 생활용품 등
중국: 의류, 신발, 가전제품, 생활용품 등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미국 대상 수출은 중국 대상 수출의 약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흑자 규모는 중국 대상 수출의 약 2배에 달합니다. 이는 미국 대상 수출 품목의 부가가치가 중국 대상 수출 품목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2022년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확대는 미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와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 기술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높습니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으로, 미국은 한국의 최대 반도체 수출국입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품목입니다. 선박은 미국의 해상 무역 확대에 따라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품목입니다.이와 반대로 중국으로 수출하는 제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 철강 등 중저가 제품의 비중이 높습니다. 반도체는 중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는 중국의 자동차 산업 발전과 함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석유제품과 철강은 중국의 제조업 확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2023년까지 한국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은 중국이었습니다. 2002년부터 2022년까지 21년 동안 중국이 한국의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이었던 것입니다.한국에서 수출한 미국과 중국 대상 품목들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철강, 기계
중국
전자제품, 자동차부품, 기계, 섬유, 철강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에는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철강, 기계 등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한국의 최대 수출품목으로, 미국은 한국의 반도체 수출의 주요 시장입니다. 자동차 역시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으로, 미국은 한국의 자동차 수출의 주요 시장입니다. 석유화학제품, 철강, 기계 등도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으로, 미국은 이러한 품목의 수출에서도 한국의 주요 시장입니다.
중국에는 전자제품, 자동차부품, 기계, 섬유, 철강 등 중저가 제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전자제품은 중국의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부품 역시 중국의 자동차 산업 성장에 따라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기계, 섬유, 철강 등도 중국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니 중국, 베트남, 홍콩 등이 우리나라 흑자 국가였습니다. 추가로 중국 및 미국 수출에 대한 현황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 수출 (우리나라 > 중국, HS 4단위, 2023년 누계 천달러 기준)
전자집적회로, 전자기기 부분품, 환식탄화수소 등이 수출 상위물품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미국 수출 (우리나라 > 미국, HS 4단위, 2023년 누계 천달러 기준)
승용자동차, 자동차 부분품, 석유조제품 등이 수출 상위물품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으로부터 미국의 수출금액은 약 1,100억불 정도되며,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자동차와 석유와 역청유와 관련된 조제품 등이 해당됩니다. 자동차의 경우에는 1,000cc를 초과 1,500cc 이하인부터 3,000cc를 초과하는 것까지 다양하게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으로부터 중국의 수출금액은 약 1,200억불 정도되며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반도체, 프로세서와 컨트롤러, 산화금속산염이나 과산화금속산염, 환식탄화수소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아닙니다. 예전의 경우 대중 무역이 우리나라 흑자 1위국이였지만, 사드 배치 및 코로나 등으로 무역 적자국으로 변환된 지 조금 되었습니다. 현재는 베트남, 미국, 홍콩, 인도 등이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 흑자국으로 보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대미 주력 수출품은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컴퓨터이며
대중 수출품은 통신전자부품, 자동자료처리기계, 전자집적회로, 램프 및 조명기구, LCD 및 광학기기, 부품류, 다이오드반도체 등입니다.
대미 그리고 대중 수출품에는 각 국의 산업 수요와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조금씩 다릅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 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에 대한 수출상위품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미국>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중국 수출품목
1. 메모리반도체(1,739,499천달러)
2. 시스템반도체(1,021,777천달러)
3. TV 모니터 등의 부분품(476,519천달러)
4. 파라-크실렌(유기화학품)(395,399천달러)
5. 컴퓨터 등의 부분품(271,146천달러)
미국 수출품목
1. 컴퓨터 등의 부분품(271,146천달러) : 945,479천달러
2. 승용차동차(실린더용량이 1,500시시 초과 3,000시시 이하인 것) : 899,334천달러
3. 승용차동차(실린더용량이 1,000시시 초과 1,500시시 이하인 것) : 774,793천달러
4. 그밖의 승용자동차(그 밖의 차량(추진용 전동기만을 갖춘 것) 683,201천달러
5. 승용차동차(실린더용량이 3,000시시를 초과하는 것) : 627,644천달러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대중 수출의 경우, IT 부품 및 중간재가 전체 수출의 49%를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이는 중국이 글로벌 제조업의 허브로 부상하면서 한국의 IT 부품 및 중간재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품목으로는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합성수지 등이 있습니다.
대미 수출의 경우, 자동차가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이는 미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한국 자동차의 수출 수요가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품목으로는 자동차,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화학제품 등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두 국가모두 전자제품이 가장 많이 수출되는 것이 맞습니다. 이때 전자제품에는 반도체, TV 등이 포함되며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반도체 강국으로 수출 1위품목이 반도체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상위 품목 중 가장 큰 차이점은 자동차의 유무입니다. 중국의 경우 자동차의 수입이 거의 없지만 미국으로는 수출이 많이 되기에 이러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