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가족간에 차량 명의 이전 세금 준비 하려 합니다. 어떻게 알아보면 좋은가요?
아버지 차량을 제 명의로 명의 이전 하려고 합니다.
차량이 국산차, 외제차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게 있을까요?
준비해야 할 세금 항목이 무엇이고, 세금은 어떻게 책정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 증여세
재산을 무상으로 증여받을 경우, 증여세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을 경우, 10년간 5천만원의 증여재산공제가 적용됩니다. 국산차/외제차 관계없이 시가에 따라 과세가 됩니다. 예를 들어 10년간 5천만원의 재산까지 무상으로 증여받더라도 증여세는 납부하지 않습니다. 증여재산공제와 증여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취득세
차량을 취득할 경우, 차량의 시가표준액 x 아래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1) 비영업용
경차 : 4%(50만원까지 면제)
승용차(10인승 이하) : 7%
승합차(11인승 이상 ) :5%
화물차 : 4%
2) 영업용 : 4%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