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용적률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부동산이 용적률이 상향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합니다. 용적률의 정의가 궁금하고 용적률이 부동산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여기서 대지면적은 토지의 전체의 면적을 말하고, 연면적은 건축물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을 말합니다. 이러한 용적률에 제한에 따라 실제 건물의 높이가 결정되어 지는데, 예를들어 토지가 50평이고 용적률이 200%라면 건축물의 연면적은 100평까지 건축이 가능하게 되고, 각층의 바닥면적을 25평으로 하였다면 4층까지 건축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층 바닥 면적을 모두 더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토지의 면적에 비해 연면적이 어느정도 되는지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인데, (용적율 = 건축물바닥면적의 합 / 대지면적 x 100) 용적률 계산시 연면적에서 공중의 통행로, 물탱크, 기타 주민공동시설 등 건축법에서 정한 것들의 면적은 제외합니다. 용적률이 높을 수록 고층으로 건축을 할 수 있으므로 토지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어서 용적률이 높을 수록 토지의 가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토지 바닥면적대비 건축물 전체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땅값도 높고 건축물 건설시에도 인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전체 대지면적에서 건물 각층의 면적을 합한 연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연면적은 지하면적을 제외한 지상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0평의 땅에 지하 1~10층 300평, 지상 1~40층 50평 등의 건물이 있다면 용적률은 지하면적(3000평)을 제외한 지상면적(2000평)에서 대지면적을 나눈 뒤 100을 곱한 200%가 됩니다.
용적률을 규정한 목적은 건물을 높게 지어 대지 내에 보다 많은 공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한마디로 용적률이 올라갈수록 건축밀도가 높아지고 토지의 가격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상업지구가 통상적으로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가격이 비쌉니다.
즉 건물을 높게 많이 지을 수 있는 토지가 비싸다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 :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하여 지하층을 제외한 지상층 면적합계(연면적)의 비율입니다.
용적률을 많이 받을수록 층수가 높게 올라갈수 있습니다
요즘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할때 모든자재값,금리,인건비,공사비가 올라서 타산이 맞지 않아 진척이 없다보니 용적률을 많이 줘서 공급을 하려고 정부에서 노력을 하는데 그역시 쉬운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 연면적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는지 나타내는 말인데 높게 지으면 일반분양을 많이 받을 수 있어 사업성이 좋게 됩니다.
재건축 시 용적률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