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초반 허리디스크? 수술을 하면 좋아지나요?
20대초반 일하면서 허리에서 빡소리와 통증이 동반되었습니다 .
병원을 잘 안가는탓에 10년째 그냥 지내고 있습니다만 간간히
살짝 숙여 빗자루질만 해도 과하게 힘들때가 있습니다
그와중에 체중이 20kg이나 증량되었구요 현재 목공일을 하고있지만 일하는데에는 큰문제가 없습니다
간혹 오는 통증이 문제가 될까 나이가 들면서 걱정이네요
일단 체중감량은 하고있습니다 디스크는 수술을 하면 좋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척추 디스크 질환 및 척추 협착증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통증, 하지 방사통, 걷다가 쉬어야하는 파행의 증상을 보입니다.
다리쪽으로 근력저하나 감각저하가 있다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 병원 방문하셔서 신체검사 및 정밀영상검사 시행하셔서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치료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디스크가 터졌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디스크는 가운데에 80%의 수분성분의 젤리처럼 생긴 수핵과 수핵을 보호하기 위해 섬유테들이 주위를 둥글게 감싸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 수핵의 수분 함량 감소로 탄력성이 떨어지거나 외부적인 자극으로 디스크가 나오면서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킵니다. 젊은 연령층에서는 수핵의 탄력성이 유지되어있기 때문에 디스크가 나오더라도 다시 흡수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단 보존적 치료(물리치료, 재활운동, 보조기 착용, 주사 치료) 등으로 경과를 확인한 뒤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일단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다면 MRI 검사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허리 디스크 질환이 있으시다고 해도 통증이 심하지 않고 수술할 정도로 심하지 않다면 꾸준히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즉, 수술이 해결책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평소에는 허리에 무리가 되는 자세(허리를 숙이는 자세,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드는 자세)는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을 때는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브릿지, 플랭크 운동 등)을 자주 해주시는 것도 필요하구요. 시술은 통증이 심할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도 물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체중이 늘어나는 것은 척추 질환에 좋지는 않아서 운동과 식사 조절로 체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허리 디스크 수술은 10명중에 1-2명 정도만 하게 됩니다. 그처럼 마지막에 정말 안될때 하는 것이 디스크 수술이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체중감량을 하면서 치료를 꾸준하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디스크가 있다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증상을 많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우선은 식이 요법을 통해서 체중을 감량하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이 많이 줄어들게 됩니다. 두 번째로 코어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하셔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필라테스와 피트니스 등이 있습니다. 여의치 않을 경우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플랭크 운동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최대한 근본적인 원인 교정을 하여야 허리의 통증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물론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는 시행하여도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으며 재발이 잦기 때문에 최대한 최후의 보루로 생각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양측 또는 한측 하지 단측의 피부면을 따라 저린 증상이 있다면 증상으로 진단 할 수는 없지만 허리디스크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디스크 또는 협착증에 의해 압박이되면 해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경증상이 없다면 디스크 수술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허리디스크는 수술적 치료가 능사는 아니지만 다리저림이나 마비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1차적 치료는 최대한 수술을 하지 않고 보존적인 치료를 하며 자세교정, 운동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디스크의 심한 정도와 상태에 따라 어떤 치료를 해야할지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 환자의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고 추간판 제거술 등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비스테로이드 진통제 등의 약물 투여와 침상안정, 골반견인, 물리치료 및 중재적 시술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