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8.16

아들이 엄마에게 너무 집착하는데, 괜찮은 가요?

둘 째 아들이 생각보다 엄마에게 너무 집착하는 거 같습니다.

엄마를 사랑하는 건 좋은데, 제가 근처에도 못 오게 합니다.

제가 엄마 몸에 손만 대고 싫어하는 행동을 하네요~!

이런 행동 괜찮은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과도한 집착은 옳바른 애착의 형성으로보기 어려울수있기에

    아이가 이렇게 애착이 형성되는 요인을 찾아보는것이 좋으며

    애정불안감이있다면 수정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에게 집착하는 이유는 엄마와 함께 보낸 시간이 많았기 때문 입니다.

    즉, 엄마를 누군가에게 뺏기고 싶지 않다 라는 소유욕이 강한 심리를 보이는데요.

    중요한 것은 아빠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이 필요로 해보입니다. 엄마 만큼 아빠 역시도 아이를 사랑하고 있다 라는 것을 아이가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스킨십을 해주시면서 사랑한다고 말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셔서 아이와 대화를 해주시거나 놀이를 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에게집착하는건

    1.적절하지못한애착관계형성

    2.이러한관계형성은성인이되면 타인에게집착하거나 가스라이팅을 쉽게당할수있음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애착 대상인 양육자가 항상 내 옆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그럴듯한 무언가를 부모와 내 사이에 두고

    애착 대상의 역할을 잠시 맡기도 합니다. 이러한 애착 대상을 중간 대상이라고도 합니다.

    애착 물건은 아이가 애착 대상에서 심리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부드러운 물건으로

    애착 대상을 생각나게 하는 고유한 냄새나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애착 물건은 양육자의 부재에서 오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아이의 독립에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보통 2~6세경 남아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엄마에 대한 애정과 사랑이 다소 정도가 지나쳐 아빠를 적대시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엄마에 대한 접근보다는 아들과 자주 소통하고 놀아주며 친해지는 시간을 갖게되면 조금씩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어린 시절에

    엄마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보이기도 해요

    하지만 이는 한살한살 먹어갈수록 줄어들기도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 시절에는

    엄마에 대한 집착이 강한 경우가 많으나

    점점 크면서 나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영아들 대부분이 엄마와 잘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고, 아빠가 옆에 있는 것도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를 억지로 떼어 내면 아이에겐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니

    아이가 좋아할만한, 또는 관심을 끌만한 장난감, 또는 간식으로 엄마에게서 관심을 바꿔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엄마와 불안전한 애착형성이 되어 있으면 그럴 수 있어요

    안정 애착 이란 아이와의 신뢰 형성인 것 같습니다.

    어린 아가일 땐 분리 불안이 느껴지지 않도록 잠깐 자리를 비우더라도,아직 말을 알아 듣지 못하더라도,

    주방에서 우유 가져올게, 베란다에서 빨래 널고 있을게 등 아이에게 엄마의 부재를 이야기를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느 정도 의사 표현이 가능해지면, 아이의 의견을 중시하고, 아이의 리듬대로 스케줄을 짜고,

    부모가 뭔가를 결정할 때 아이에게 먼저 물어 보는 것도 아이와의 신뢰 형성을 쌓는 방법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