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관세 불확실성이 우리 수출에 영향을 미칠 거같은데요
미국의 추가 관세 불확실성이 우리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언급이 있었는데, 실제로 관세 리스크가 커질 경우 우리나라 자동차나 반도체 업체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전망이나 대응책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나 자동차의 경우 현재 관세 인상이 예정된 25%의 관세와는 연관이 없고,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관세부과가 이루어지고 있거나 예정입니다.
실제 관세부과가 이루어지고 있는 자동차의 경우 일단 많은 수출을 진행해놓았고, 미국내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결국 장기화가 되면 가격경쟁력 악화 등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는 자동차 산업 등 우리나라 주요 산업들을 위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자동차는 상호관세 외에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반도체는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관세부과로 인하여 우리나라 수출품은 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져 미국 수출 시 가격경쟁력 등에서 영향을 받게 됩니다. 또한 반도체는 보조금 축소 등의 이중 압박도 있습니다.
7월 1일에서 현재까지는 수출이 증가하였습니다. 관세 위기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이 선방하였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다만, 상호관세 부과는 다음달 1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8월 1일까지 최선의 노력으로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관세는 일종의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비용입니다. 이에 따라 가격상승 - 수요둔화 - 매출감소 및 이익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간단하게 수요, 공급 곡선을 생각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