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에이즈 치료제인 AZT의 작용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HIV 바이러스에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에이즈에 치료제로는 티민유사체인 AZT를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에이즈 치료제인 AZT의 작용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AZT는 HIV 감염 치료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항바이러스제 중 하나이며, 핵산 합성을 방해하는 티민 유사체인데요 정상적인 티미딘 뉴클레오타이드와 달리, 3' 위치에 -OH기가 없고, 대신 아지드기(-N₃)가 있습니다. 따라서 DNA 합성 과정에서 AZT가 들어가면 인산이에스테르 결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슬이 더 이상 이어질 수 없습니다. 이때 HIV는 ssRNA 바이러스로, 숙주 세포에 들어가면 역전사효소를 사용하여 RNA → DNA로 전환하는데요, 숙주 세포 내에서 AZT는 AZT-삼인산(AZT-TP) 형태로 변환되며 DNA 합성에 쓰일 수 있는 활성형을 이룹니다. 역전사효소는 정상 티미딘 대신 AZT-TP를 DNA 가닥에 삽입할 수 있으며, AZT에는 3'-OH기가 없으므로, 다음 뉴클레오타이드와 인산결합을 형성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DNA 합성이 중단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먼저 AZT는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 계열의 에이즈 치료제입니다.

    주요 작용 원리는 HIV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에서 증식하는 데 필수적인 역전사효소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AZT는 DNA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티민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체내에 들어가면 활성 형태인 AZT 삼인산으로 변하며, 바이러스의 역전사효소는 이를 진짜 티민으로 착각하고 DNA 사슬에 잘못 삽입합니다. 하지만 AZT는 티민과 달리 다음 뉴클레오타이드가 연결될 수 있는 부위가 없어, DNA 합성이 도중에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가 복제되지 못하고, HIV 증식이 억제되는 것이죠.

  • AZT는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계열의 약물입니다. 이 약은 HIV 바이러스의 역전사효소를 방해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구체적으로, AZT는 바이러스의 RNA 게놈을 DNA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상적인 뉴클레오시드인 티미딘 대신 잘못된 뉴클레오시드로 인식되어 DNA 사슬에 결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DNA 합성이 중단되면서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