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깔끔한다람쥐146
깔끔한다람쥐146
22.12.02

구독경제의 특성을 뭐라 한마디로 설명이 안될까요?

신문 구독, OTT 구독등 구독에 대해서는 개념적으로 느낌은 드나, 명확히 그리고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독 경제의 특성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구독경제를 정의할 수 있는 한마디 단어라고 한다면 '다양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거의 세대들이 물건에 대한 소유를 위해서 구입위주로 생활을 하였다면 최근 MZ세대의 경우는 소유라는 개념보다는 자유롭게 내가 사용하고 싶은 만큼 사용하고 여러 가지를 경험할 수 있기에 더 경제적이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함과 효익성이 더 높은 것이 특징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구독경제란 일정액을 내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자가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신개념 유통 서비스를 일컫는 말입니다.

    저렴하고 일정한 금액으로 소비자에게 지속적인 서비스가 핵심인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일정한 비용을 소비자가 지불하면 그들의 니즈에 맞춰 주기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티비, 심지어 지금 아하의 멤버쉽이벤트도 구독경제의 한 분야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함께하는 비즈니스라는 특징을 지니며, 제공자는 수익을 얻고, 사용자는 효용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할 수 있는 비즈니스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02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구독경제의 특성은 디지털 플랫폼이 급증하면서 정보 접근성 높아지고, 구매 과정의 간소화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D2C(Direct-to-Consumer)를 기반으로 한 구독 서비스에 인공지능, D&A(Data & Analytics), 클라우드 등 ICT를 접목해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판매하는 인프라가 갖춰졌습니다. 특히 고객의 DB를 수집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클라우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의 니즈를 분석하는 AI의 공이 매우 큽니다.

  •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어떤 것을 사서 '소유'의 개념이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공유경제, 구독경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로 비유하면 구매가 아니라 리스나 장기렌터카를 이용한다는 것이죠.

    1인가구의 증가, 합리적인 소비 추구, 미니멀 라이프 스타일의 증가 등도 그 배경이 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한번 팔고 끝이 아니라 소액이어도 지속적으로 현금을 창출하면서 고객을 묶어둘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 고객들에게 계속 다른 서비스들을 파생시켜 판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