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한참멋쩍은기니피그
한참멋쩍은기니피그

가끔 원인모를 겨드랑이 밑과 가슴쪽 통증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기저질환
2형당뇨,공황장애,불안장애,허리디스크
복용중인 약
당뇨약,공황장애약

아무런 원인 없이 가끔가다 겨드랑이 밑쪽으로 부터 시작해서 가슴쪽 근육이 찢어질듯 통증이 밀려와 숨만 쉬어도 찌릿한 통증이 1~5분 정도 발생합니다.

오른쪽 왼쪽 상관없이 한쪽만 통증이 올때도 있고, 양쪽 다 통증이 올 경우엔 움직이지도 못할 정도로 아픕니다.

통증이 올때 팔 움직임에 따른 변화는 없고, 만세 하듯이 쭉 뻗으면 그나마 통증이 적어지긴 합니다. 근데 다시 팔을 내리면 통증이 심해지네요.

벌써 4년째 고통에 시달리는데, 어느 진료과로 가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자주 반복되는 겨드랑이 밑과 가슴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잘못된 자세로 인한 근육통이나 염좌 일 수도 있지만 역류성식도염이나 위염 등 내과적인 문제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시다면 내과에서 먼저 진료를 받아보시고 내과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가끔가다가 겨드랑이밑쪽으로 불편감이심하게느껴진다면 근육의과긴장이나 염증, 내장기관의문제일수있습니다

    지속적으로불편감이있다면 엑스레이나 MRI와같은 정밀검사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여러 과에서 협진을 받을수있도록 가까운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내원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겨드랑이 밑과 가슴 쪽 통증은 근육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원인으로 생길 수 있어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팔을 올리면 덜 아프고 내리면 심해지는 양상은 신경이 눌리거나 흉곽 주변 근육 긴장과 관련될 수 있어요!

    호흡 시 통증이 심해지는 것은 늑간근이나 흉곽 신경 자극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근골격계와 관현한 문제인지 파악하기 위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재활의학과와 통증의학과등의 진료과목에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인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정밀검사를 고려하거나 상급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셔도 좋겠습니다.

    주변 신경이 자극되거나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지만, 증상만으로 단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은 진료와 검사 이후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해주신 증상은 단순 근육통이라기보다 신경, 혈관, 심장 쪽 문제까지 포함해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먼저 심장내과 혹은 흉부외과에서 심장, 폐 검사를 먼저 받아보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겨드랑이 밑이나 가슴 쪽 통증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의심해볼 수 있는 문제로는 근육통이나 늑간 신경통으로 인한 통증 또는 담즘이나 위장의 문제 혹은 폐질환 이외에도 척추 및 신경의 문제등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기에 정형외과를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보통 4년간 통증이 지속된다는것은 단순 근육통 보다는 흉곽 주변 근육 또는 갈비뼈의 문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문제가 없다면 신경의 문제 또는 드물지만 심장의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빠른 시일내에 정형외과 내원하시고 필요에따라 다른과를 협진 소견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상당히 애매하고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해당 내용만 보아서는 구체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원인에 의한 것인지 등 자세하게 파악하고 감별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각설하고 관련하여서는 가장 먼저 심장 및 순환기계의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파악을 해보고, 없다면 흉부 근골격계의 이상에 의한 것은 아닌지 감별해보는 것이 적절한 접근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일차적으로는 심장내과(순환기내과)적으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으며, 딱히 원인이 감별되지 않고 별다른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그 다음으로는 흉부외과 쪽으로 가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