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건장한앵무새53
건장한앵무새5323.06.18

물속에서 불이 안꺼지고 켜질수있나요?

전에 티비에서 봤을때 물속에서도 불이 나는걸 본적이 있는거같은데 실제로도 물속에서도 불이 켜질수있나요? 만약 가능하다면 왜 안꺼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장면은 아마 일반적인 발화 과정이 아닌 금속 등의 특수 화학 반응에 의한 발화 과정을 보신 것 같습니다.

    금속에 의한 발화 과정에서는 물 보다 강한 열이 발산되어 물 속에서도 꺼지지 않고 발화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지속적으로 점화되기 위해서는 산소 공급은 필수 입니다.

    물 속에서도 이와 같이 산소 공급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다면 불이 꺼지지 않고 유지 될 수 있긴 하지만 사실 상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산소공급이 이뤄진다면 안꺼지고 계속해서 불이 점화할수 있습니다.

    질식소화와 같이 산소가 차단되면 불이 꺼지는 원리 반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안꺼지고 물속에서 계속 켜지려면 물이 식히는 힘보다 더 센 불이 일어나야합니다

    예를 들면 화산같은 거 말입니다

    그래도 화산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바닷물에 의해 다 식어 바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기반의 연소반응이 아니거나, 산소용접기처럼 기포를 순간적으로 내어, 물 속에서도 산소공급과 연료공급이 가능한경우 불꽃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물은 연소반응의 온도를 낮추고 산소와 결합을 방해하여 소화작용을 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연소반응은 산소와 결합니기 때문에 물 속에서 일어나기 어렵지만 만일 금속 반응에 따른 불꽃이라면 산소 없이 불꽃이 일어나며 고열로 인해 불꽃이 꺼지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물속에서 불이 켜질 수는 있습니다. 이를 "물 속 불" 또는 "물 위 불"이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일반적인 불이나 물에서의 화염과는 조금 다른 원리로 발생합니다.

    불은 산소와 연료, 그리고 충분한 열이 있는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물속에 있는 경우에는 산소의 공급이 제한되는데, 물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공기 중의 산소와는 다릅니다. 따라서 불이 물 속에서 발생하려면 추가적인 조건이 필요합니다.

    물 속에서 불이 발생하는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동 산소: 일부 물 속에서는 미량의 유동 산소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산소 공급이 가능하여 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화학 반응: 몇 가지 화학 반응은 물 속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반응을 통해 충분한 열과 빛이 생성되어 물 속에서 불이 켜질 수 있습니다.

    3. 특수한 물질: 일부 특수한 물질은 물 속에서 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몇 가지 화학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거나 발열 반응을 일으켜 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이 물 속에서 꺼지지 않는 이유는 불의 열이 물을 빠르게 가열하여 주변에 있는 산소를 방출시키기 때문입니다. 산소 공급이 계속되는 한 불은 계속 타고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 속에서 불이 켜지는 것은 드문 현상이며, 특수한 조건과 환경에서만 발생합니다.

    또한, 안전에 대한 문제로 인해 일반적으로 물 속에서 불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불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산소 공급과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는 공간에서만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부 특수한 화학 반응에서는 물 속에서 연소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 가스를 생성하면서 열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에서는 물 속에서 연소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불이 난게 아닌 하나의 트릭을 보신것 같습니다.

    불빛으로는 만들수있지만 불을 낼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서도 불이 나는 현상은 실제로 가능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하수나 해저에서 매설된 가스나 석유 등이 물속에서 끄집어져서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불꽃이 일어나더라도 산소가 부족하여 불이 꺼질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가스나 석유 등이 출처가 되는 불이 꺼지지 않는다면, 그 가스나 석유 등의 공급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매우 위험하며, 불이 나는 가스나 석유 등이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물속에서 불이 나는 것은 극히 위험한 현상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제가 군대 있을때(특전사)...주로 해상 훈련때 한두번 사용한 적이 있고..야간 수상 침투전때 해 봤는데요..

    약간 특수하게 만들어진 조명탄 같은 것이라 보시면 되는데..

    물속에서도 불이 붙어 있어야 할려면...일단, 물에 젖지 않게 기름종이로 스파클라라는 것을 감싸주어야 하고..

    그러면..발화점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고..또한, 이 스파클라 중앙의 심지 주위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화제가 있어서 물속에서도

    한동안 산소를 공급해주게 됩니다.

    단, 영구히 불이 꺼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상기 3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불은 꺼지게 됩니다.ㅎ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발생되는 3가지 조건은 탈물질, 발화점 이상의 온도, 산소 이 3가지조건이 되면 가능합니다. 그려려먼 먼저 물질이 물에 젖지 않게 보호 되어야합니다. 그러려면 기름과 같은 친유성 물질을 물질에 발라서 물에 젖지 않게 만들고 발화점이상의 온도로 불이 붙이고 산화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해 주면 가능합니다.